'최순실 국정 농단 의혹'을 수사해온 검찰이 11일 조원동(60) 전 청와대 경제수석과 김종(55)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을 재판에 넘기면서 대단원의 수사를 마무리했다. 지난 10월 4일 관련 고발 사건을 배당해 수사에 착수한 지 68일 만이다.
속도감 있게 수사를 진행해 박 대통령의 '40년 지기'이자 '비선 실세'라는 최순실(60) 씨, '왕수석'으로 불린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문고리 3인방' 가운데 하나인 정호성(47)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등을 줄줄이 구속기소했다.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을 피의자로 입건하고 줄곧 대면조사를 요구하는 등 강단 있는 모습도 보여줬다.
하지만 애초 정국을 뒤흔들 '쓰나미급' 의혹에도 수사 초반에 정권의 눈치를 보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특히 두 달여의 검찰 수사 관련, 사건 배당 후에도 수사를 미적대는 모습을 보인 건 비판의 대상이 됐다. 결정적 증거물인 최 씨의 '태블릿PC' 존재가 공개되고 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하자 정식 수사팀을 편성했지만 '뒷북수사'라는 지적을 피하지 못했다.
일각에선 검찰이 정권과 여론 사이에서 줄타기하다가 판세가 한쪽으로 기울자 수사를 본격화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조응천 의원은 "다리가 부러져 거동할 수 없게 된 사자에게 떼로 달려드는 하이에나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고 꼬집었다.
검찰 출신이자 '왕실장'으로 불린 김기춘(77)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왕수석'으로 강한 사정기관 장악력을 보였던 우병우(49) 전 민정수석 등에 날카로운 칼날을 들이대지 못한 것도 비판을 받는 지점이다.
권부의 핵심에서 박 대통령을 보좌한 두 사람은 누구보다 이번 사태 책임론이 부각됐다. 국민은 두 사람이 사태를 묵인하거나 나아가 최 씨를 비호한 게 아닌지 의심의 눈길을 보냈다. 하지만 검찰 수사에서는 뒷순위로 밀렸고 끝내 진상 규명은 이뤄지지 못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민주 "전날 협상한 국힘과의 '3대 특검안' 최종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