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야권은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흔들지만 말고 도와줘야

야권이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를 그대로 두기로 했다. 그러면서 '일단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만약 오버하거나 이상한 행동을 한다면 좌시하지 않고 다시 생각해볼 것"이라 했다. 좋은 뜻으로 보면 일종의 경고이고, 좋지 않은 뜻으로 보면 협박이나 다름없다.

야권은 황 권한대행의 권한과 기능에 대해 간섭을 시작하면서 갖가지 주문을 내놓았다. "적극적인 국정 운영을 해서도 안 되고 현상 유지의 범위를 넘어서도 안 된다." "유명무실해진 경제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사드 배치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등 민감하고 중대한 현안에 대해서는 더 이상 진행을 하지 마라." 경제'안보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일을 하라는 건지, 아예 자리만 지키고 있으라는 건지 알 수 없을 정도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지난 8일 탄핵 투표 직전에 '내각 총사퇴'를 공공연하게 요구했다. 추 대표는 대통령이 직무 정지되는 상태에서 내각마저 없이 누가 국정을 책임질지에 대한 고민조차 없는 듯했다. '무책임한 발언'이라는 비난 여론에 부딪혀, 슬그머니 철회했다.

이어 추 대표는 '국회-정부 협의체' 구성을 위해 새누리당을 제외한, 국회 대표와 각 당 대표 연석회의를 제안했다. 여야 협의체는 포기하고, 야당만의 협의체를 만들어 국정을 조정하고 간섭하겠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를 배제하겠다는 뜻은 이해하지만, 야당의 힘만으로 국정을 좌지우지하겠다는 것은 지나친 처사다. 이런 어정쩡한 상황에서 협의체 파트너인 황 권한대행이나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야당 뜻대로 움직여 줄지도 미지수다.

야당은 벌써 정권을 거머쥔 듯이 행동한다. 어찌 보면 점령군 행세다. 그러면서 국정에 대한 책임감은 결여돼 있다. 야권이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원한다면 황 권한대행 체제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이왕 황 권한대행 체제를 인정하기로 한 이상, 의심과 견제만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돕고 협조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옳다. 차기 대권 유불리와 정파적 이해득실을 앞세워 국정을 움직이려다간 촛불 민심의 역풍이 야권에 향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