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서 흑인의 인권과 자유, 인종 간 평등을 요구하는 대행진이 펼쳐졌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이끈 이 평화 시위에서 20만여 명의 참가자들은 '우리 승리하리라'(We shall overcome)라는 노래를 소리 높여 불렀다. 원래 흑인교회의 찬송가에 기원을 둔 이 노래는 시위의 열기를 높이고 참가자들의 의지를 다지는 동력이 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월남전 참전에 반대하는 반전 운동 가요로도 널리 불렸다. 반전 운동의 기수로 유명한 가수 존 바에즈와 피트 시거 등 여러 가수가 불러 유명해졌다. 우리나라의 '임을 위한 행진곡'처럼 미국의 '운동권 가요'라고 할 수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우리 승리하리라' 같은 노래가 한국과 미국의 집회 현장에서 예전처럼 많이 불리지는 않는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에서도 과거의 운동권 가요보다는 영화 '레미제라블'에 나오는 '민중의 노래' 등 새롭고 다양한 노래들이 등장했다. 시간이 많이 흘러 시대가 바뀌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 노래들은 인간의 숭고한 가치를 추구하는 역사와 함께했기에 불멸의 생명력을 얻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의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돼 있다. 그래서 일부 극우 보수론자들이 이 노래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현실은 씁쓸할 수밖에 없다.
지난 주말, 박사모의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들이 '아름다운 강산'이라는 노래를 부르자 대중음악인 신대철 씨가 발끈해 논란이 일었다. 신 씨는 그의 아버지 신중현 씨가 1970년대에 당시 박정희 대통령을 찬양하는 노래를 만들어 달라는 외압을 뿌리치고 차라리 우리나라의 자연을 찬양하고자 '아름다운 강산'을 만들었다며 박사모는 이 노래를 부르지 말라고 요구했다. 노래 하나 부르는 것 가지고 뭐 그렇게 야단이냐, 노래 부를 자유도 없느냐고 할 수 있겠지만, 신 씨의 감정과 요구는 이해할 수 있다. 신중현 씨는 당시 정권에 밉보인 탓이었는지 그의 노래가 줄줄이 금지곡이 되는 고초를 겪었다. 그 무렵 다른 가수들의 많은 노래도 황당한 이유로 금지곡 처분을 받았다.
그러고 보니 1970년대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만들었다는 '새마을 노래' '조국 찬가' 등을 참 많이 부르고 많이 들었던 기억이 난다. 때 아니게 불거진 '아름다운 강산' 논란은 1970년대의 무지막지한 폭압을 떠올리게 한다. 지금 벌어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도 따지고 보면 박정희 시대의 찌꺼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결과가 아닌가 싶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