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2일(현지시간) 미국의 핵 능력을 대폭 강화'확장하겠다고 밝혔다.
미국과 더불어 양대 핵 강국인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핵 전투력 강화 방침을 밝히자 곧장 맞불을 놓은 것이다.
미'러가 과거 냉전 시대의 핵무기 경쟁 체제로 재돌입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트위터 계정을 통해 "미국은 세계가 핵무기와 관련한 분별력을 갖게 되는 시점까지는 핵 능력을 큰 폭으로 강화하고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 같은 발언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핵전력 강화를 강조한 것으로 알려진 지 몇 시간 만에 나왔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모스크바에서 한 국방 문제 연설에서 "전략 핵무기부대의 전투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현존하거나 앞으로 개발될 미사일 방어체계를 돌파할 수 있을 정도로 미사일의 성능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과 푸틴 대통령이 동시에 핵전력 강화론을 펴면서 향후 양국 간 '핵 치킨게임' 돌입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양국이 핵무기의 수와 크기를 줄이기 위해 수십 년에 걸쳐 진행된 노력을 되돌릴 수 있는 새로운 군비 경쟁의 망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옛 소련이 1980년대 후반부터 이어온 핵무기 감소 추세가 멈추거나, 증가세로 돌아서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WP는 이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009년 4월 체코 프라하에서 연설을 통해 제시한 "'핵무기 없는 세상' 정책이 그대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구상이 나온 이후 미'러는 1991년 체결돼 만료된 전략무기감축협정을 대체할 후속협정 협상을 1년 만에 마무리 짓고, 이듬해 양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조인식을 했다.
새 협정은 장거리 핵탄두를 2천200기에서 1천600기로 줄이고, 지상과 해상에 배치된 미사일을 1천600기에서 800기로 감축하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지난 10월 "미국의 러시아에 대한 비우호적 행동으로 전략적 안정성에 대한 위협이 생기고 있다"며 미국과 체결한 무기급 플루토늄 관리 및 폐기 협정(PMDA)을 잠정 중단하도록 지시했다. 이후에도 강경 후속 조치를 잇달아 내놓는 등 미국과 핵무기 경쟁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미'러 간 핵 경쟁 우려로 논란이 번지자 트럼프 당선인 측은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트럼프 정권 인수위원회의 대변인 제이슨 밀러는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은 핵확산 위협에 대한 언급으로, 핵무기가 테러리스트들과 불안정한 불량 정권들에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