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AI불경기 비켜가는 닭요리집…판매량 급감 예전과 대조적

"75℃ 이상 익혀 먹으면 안전" 학습효과…뜨끈뜨끈 삼계탕 보신하러 갑니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농촌진흥청 구내식당에서 직원들이 삼계탕을 먹으며 닭·오리고기 가금류 소비 촉진 운동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전북 전주시 완산구 농촌진흥청 구내식당에서 직원들이 삼계탕을 먹으며 닭·오리고기 가금류 소비 촉진 운동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오후 1시쯤 대구 북구 A삼계탕집. 빈자리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손님이 가득 차 있었다. 삼계탕을 먹고 있던 이모(47) 씨는 "AI 확산 소식을 접했지만, AI 사태가 이미 여러 번 반복되면서 75℃ 이상에서 조리하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 삼계탕을 먹어도 크게 신경 쓰이지 않는다"고 했다. 이곳 주인은 "손님의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며 "2011년까지만 해도 AI 보도가 나면 손님이 반 토막 났는데 이젠 손님들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더 잘 알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삼계탕, 치킨집 등 관련 업계의 충격은 예상보다 크지 않다.

대구지역 한 대형마트에 따르면 지난 2일 전북 김제에서 AI가 발생한 뒤 19일까지 닭고기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3%정도밖에 줄지 않았다. 치킨 가게들도 타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다는 반응이다. 중구 한 치킨 가게 업주는 "이달 들어 매출이 10% 정도 줄어들긴 했지만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며 "가게에 와서 맥주와 함께 치킨을 먹는 손님은 오히려 조금 늘었다"고 했다.

2003년 국내에서 AI가 처음 발생한 뒤 대형마트 등에서 닭고기 판매량이 급감하고, 일부 매장에서는 닭이나 오리가 자취를 감췄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유통'요식업계에 따르면 불과 5년 전만 하더라도 AI 불안심리가 닭고기 판매량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익혀 먹으면 괜찮다'는 게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알려지면서 지금은 소비자들이 성숙해졌다는 것. 반면 계란을 많이 사용하는 가게들은 울상이다. 고공행진하는 계란 가격 때문에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 배달전문식당 업주는 "기본반찬으로 계란말이를 제공했는데 이틀 전부터 소시지 반찬으로 대신하고 있다"며 "계란 가격이 앞으로 더 오를 것이란 얘기도 들려 당분간은 계란말이를 제공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