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제철 화력발전소 무산' 환경운동聯 6대 뉴스에

상공계 "아직 철회 결정 안돼"

포항환경운동연합은 27일 포항제철소의 화력발전소(500㎿) 건설 계획 무산 등 올해 포항 6대 환경뉴스를 선정, 발표했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이 지난 9월 국정감사에서 "온실가스 감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청정지역인 포항에 화력발전소 건설은 안 된다는 시각에서 정부 차원의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발언을 근거로, 포항환경운동연합은 포항제철소 화력발전소 건설이 물 건너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포항상공계는 "아직 결정된 게 없다. 포항시민 33만 명이 동의한 일이어서 (무산 결정은) 각계의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며 섣부른 계획 철회 발표를 경계했다.

포항제철소는 한국전력으로부터 전기를 구입하는 비용(수전비용)이 매년 급격히 증가해 2022년이 되면 1조2천억원에 달하는 등 해를 거듭할수록 공장 가동에 따른 실익이 줄고 있다. 포스코는 화력발전소 건립을 위해 소결공장 폐쇄 등을 통해 배출오염량 수준을 현재보다 낮추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포항은 대기환경보전법상 청정연료(LNG'LPG) 사용지역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올해 환경뉴스와 관련, 포스코 화력발전소 다음으로는 포항 젖줄인 형산강 하구에 서식하고 있는 재첩에서 수은이 검출된데 이어 바닥퇴적물도 기준치 1천 배가 넘는 수은덩어리로 밝혀진 사실을 순위에 올렸다.

활성단층인 양산'울산 단층 위에 지어진 노후 원전인 월성원전 가동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는 탈핵주장이 3번째 뉴스로 선정됐다. 또 영덕핵발전소 유치 찬반 1주년과 영덕군이 안전을 위해 원전관련 업무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것도 포함됐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운데 경북에서는 포항이 가장 많은 55명(사망 19명)으로 조사됐다는 내용과 주민동의 없이 죽장면 등에서 무분별한 풍력발전 사업에 따른 자연훼손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도 순위에 들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