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서문야시장 영업 재개, 순리대로 원만하게 풀어야

서문시장 4지구 화재가 발생한 지 30일로 꼭 한 달째다. 지난 한 달 동안 당국의 화재 원인 조사와 발표, 4지구 철거와 신축 계획, 대체상가 논의와 결정 등 많은 일들이 진행됐다. 하지만 이번 화재로 피해를 입은 4지구 상인들의 충격은 여전하다. 이들의 허탈한 심정은 대구 시민이면 누구나 충분히 이해하고 또 공감한다. 그러나 새해를 코앞에 두고 이제는 피해 상인도 허탈한 마음을 추스르고 다시 기운을 내 복구에 힘을 내야 할 단계임은 분명하다.

야시장 재개장 문제도 그중 하나다. 80여 개 점포 200명의 야시장 상인들은 화재 직후 피해 상인과 아픔을 함께하는 뜻에서 영업을 중단했다. 하지만 공백이 길어지면서 야시장 상인들마저 생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또 다른 후유증을 낳고 있다. 다시 문을 열자니 야시장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냉랭한 시선 때문에 곤란한 처지에 놓인 것이다.

야시장이 생기면서 심야 시간대 화재 위험이 커졌다는 4지구 상인의 주장도 무리는 아니다. 비상대책위원회가 야시장 상인들이 모은 성금을 거절한 것은 불편한 감정 표현의 측면도 있지만 보다 철저한 안전대책을 요구하는 뜻도 담겨 있다. 이 점은 앞으로 야시장 상인과 대구시가 경각심을 갖고 안전대책을 확실히 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화재는 불행한 일이나 문제는 순리대로 풀어야 한다. 감정대로 마냥 야시장을 외면한다면 상인 간 불화의 골이 깊어지는 등 더 큰 문제를 낳을 수 있다.

그동안 서문시장 화재 피해 복구를 위해 전국 각계각층에서 수십억원의 성금을 모았고 계속 성금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대구 시민뿐 아니라 온 국민이 피해 상인과 아픔을 함께한다는 뜻이다. 이제 4지구 상인들도 야시장의 처지를 이해하고 받은 만큼 따뜻한 정을 나눠야 할 때다.

많은 국민들이 피해 상인의 고통을 안타깝게 여기고 복구 성금을 모아 보내는 마당에 야시장 영업 재개를 백안시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피해 상인과 아픔을 함께하는 시민의 뜻과 여론을 잘 살필 필요가 있다. 대구시도 입장을 빨리 정리해 새해에는 많은 시민이 야시장을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적극 중재하고 결단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