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천시장은 지금 쓰레기와 전쟁 중

작년부터 공공매립장 반입 금지…사설소각장 이용, 처리비 3배↑

23일 오후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업주들이 쓰레기 처리 비용을 아끼기 위해 시장 곳곳에 외부 반입 쓰레기 무단 투기 금지를 알리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23일 오후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업주들이 쓰레기 처리 비용을 아끼기 위해 시장 곳곳에 외부 반입 쓰레기 무단 투기 금지를 알리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23일 오후 대구 북구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매천시장)에는 '외부 쓰레기 반입 차량 및 무단 투기 행위 CCTV 촬영 집중 단속'이라는 경고 문구를 담은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었다. 상인들이 쓰레기를 내놓는 장소마다 '적발 시 관할 구청 과태료 부과(최고 100만원)'라고 쓴 안내문도 눈에 띄었다. 한 시장 상인은 "지난해부터 대구시가 운영하는 공공소각장이 매천시장 쓰레기를 받아주지 않는다"면서 "사설소각장에서 처리하면 비용이 대폭 늘 수밖에 없어 외부 유입 쓰레기를 최대한 줄이고 분리수거도 철저히 하는 등 쓰레기양 줄이기에 나섰다"고 말했다.

매천시장이 쓰레기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해 4월부터 이곳에서 발생한 일반쓰레기의 성서소각장 반입을 금지하면서 쓰레기 처리 비용이 3배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상인들은 비용을 아끼기 위해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상인들은 과거 다소 소홀했던 배추나 상추 등 엽채류 분리수거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또 외부인이 매천시장 야적장에 쓰레기를 무단 투기해도 그냥 넘어갔지만 지금은 발견하면 곧바로 신고한다. 실제로 최근 쓰레기를 무단 투기하던 외부인들이 상인 신고로 북구청에서 과태료를 부과받기도 했다.

대구시는 당초 지역경제 살리기의 목적으로 매천시장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쓰레기의 경우 시가 운영하는 달성군매립장과 성서소각장 반입을 허용해왔다. 하지만 2015년 정부가 가연성 쓰레기의 매립장 반입은 위법이라며 기관경고 처분을 내리면서 가연성 쓰레기의 소각장 반입을 막고 있다. 상인들은 사설소각장에서 쓰레기를 처리해야 하는 처지다.

문제는 사설소각장의 쓰레기 처리 비용이 공공소각장에 비해 너무 비싸다는 점이다. 공공소각장을 이용하면 t당 5만6천원가량 들지만 사설소각장은 t당 18만3천원이나 필요해 비용이 3.3배 늘어난다. 갑작스러운 비용 증가에 상인들이 지난해 4월부터 10월까지 쓰레기 740t가량을 처리하지 않은 채 시장 내에 야적해둬 논란이 일기도 했다. 박규홍 한국농수산물중도매인연합회 대구시지회장은 "매천시장은 대구시가 관리사업소를 두고 운영하는 공공성을 띤다. 시 운영 소각장 반입 금지 조치는 이해할 수 없다"며 "지난해 야적된 쓰레기를 처리하면서 시가 매천시장 전용 종량제 봉투를 제작해 공공소각장에 반입하는 대안을 제시했지만 지금까지 진척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매천시장 전용 종량제 봉투 제작을 위해서는 관할 북구청 협조가 필요한데 다른 전통시장과의 형평성 문제로 난색을 표한다"며 "우선 쓰레기 배출량 감소 노력을 지원하고 향후 매천시장 이전 등 시장 활성화 대책을 마련할 때 쓰레기 문제도 함께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