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사업인 웨이모(Waymo)가 우버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 자사의 자율주행차 기술을 우버가 훔쳤다는 이유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웨이모는 이날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연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차량호출 업체 우버가 지난해 인수한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 오토(Otto)의 임직원 여러 명이 알파벳의 자율주행차 프로젝트에서 일할 때 기술을 빼돌렸다고 주장했다.
소장에 따르면 알파벳 자율주행차 사업부의 매니저 출신으로 오토를 창업한 앤서니 레반다우스키는 알파벳을 그만두기 전에 14만 개의 기밀 파일을 내려받았다.
이 가운데는 알파벳 자율주행차 기술의 핵심인 라이더(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도 포함돼 있다. 라이더는 레이저 빔을 주변 물체에 보내 반사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환경을 입체적으로 인식한다.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의 형태와 속도, 움직임 등을 파악하는데 결정적이다.
웨이모는 블로그에서 "웨이모의 이 기술을 유용하는 것은 음료 회사에서 맛을 내는 비법을 훔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웨이모는 사업비밀을 도둑맞고 특허를 침해당했다는 사실을 뜻밖의 이메일을 통해 알았다고 했다.
한 라이더 공급업체가 부주의로 우버의 라이더 회로판으로 보이는 도면을 웨이모 직원에게 보냈는데 설계가 웨이모의 것과 매우 비슷했다는 것이다.
웨이모는 레반다우스키가 회사를 그만두기 6주 전에 웨이모의 라이더와 회로판을 포함한 다양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관한 파일을 내려받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테슬라도 지난달 자율주행 프로그램 오토파일럿을 이끌었던 스털링 앤더슨을 비밀정보 절도 혐의로 제소했다. 테슬라는 앤더슨이 구글의 자동차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유명 엔지니어 크리스 엄슨과 손잡고 자율주행차 벤처 오로라 이노베이션을 세웠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