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시'경북도, 지역 핵심사업 대선 공약화에 최선 다해야

대구시와 경북도가 이번 대선 후보자들에게 요구할 지역 공약사업을 확정했다. 지역 공약에는 대구'경북에서 필요한 핵심사업이 상당수 포함돼 있어 큰 기대를 갖게 한다. 그렇지만, 대구시와 경북도가 바라는 대로 되는 것이 아닌 만큼 가능한 한 많은 사업이 후보자들의 공약집에 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방법밖에 없다.

대구시는 12개 사업에 총 28조원 규모의 사업비를, 경북도는 30개 사업에 37조8천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반영해주길 원하고 있다. 대구시는 경북도와 통합공항 건설 및 연결 교통망 등 3개 사업을 공통 핵심 공약으로, 광주시와 대구~광주 내륙철도 건설을 함께 추진한다. 미래형자동차, 첨단의료복합단지, 물산업, 에너지클러스터 등의 사업도 있다.

경북도는 도청 소재지 안동'예천 이전의 후속 대책으로 한반도 허리 경제권 기반 구축을 위한 8개 사업에 14조9천700여억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3대 가속기 클러스터, 미래형자동차, 한국 역사 문화 인프라 구축, 생물지원 기반 조성, 탄티늄 벨트 등의 사업도 요구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지역 공약을 꼼꼼하게 선정해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함께 정당과 주요 후보자 캠프 등을 찾아다니며 지역 공약을 설명하고 공약집에 포함시켜줄 것을 부탁하고 있다니 지역 상생의 모범을 보는 듯하다. 대구시가 내륙철도 건설을 대선공약화하기 위해 광주시와 대구~광주 철도 건설 추진협의회를 구성키로 한 것도 전례가 없는 일이다. 지역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대구'경북은 물론이고 타지역 자치단체와 손잡고 공동대응하는 전략은 칭찬받아 마땅하다.

이런 외형적인 움직임도 필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과물이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제안이 주요 후보자들의 공약집에 얼마만큼 포함될지 궁금해진다. 가장 유력한 후보인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쯤 영남지역 공약을 발표한다고 하니 그때쯤이면 대구시와 경북도의 노력 정도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남은 대선 기간 동안 현안사업이 후보자의 공약집에 대거 수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