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은 군공항 이전 시기에 맞추어 항공수요조사를 거쳐 적정 규모의 터미널, 계류장, 주차장 등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며, 대구시는 국방부에 3천500m의 활주로 규모를 요구하고 있으나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앞의 글은 2월 2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보도자료다. 대구공항에 대해서는 군공항을 따라 이전한다는 원칙만 있을 뿐 위상이나 규모, 공항시설과 인프라 지원 등은 구체적 계획이 전혀 없다는 얘기다.
군공항 이전 시기에 맞추어 적정 규모로 건설하겠다는 것은 먼저 이전지 확정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 놓고 대규모 공항이든 군공항에 더부살이하는 동네 공항이든 철저하게 수요와 효율을 따져 짓겠다는 의미다. 3천500m 활주로 건설, 미주'유럽노선 운항, 공항철도 건설 등 대구시의 주장은 장밋빛 희망에 불과한 셈이다.
다음 글은 부산의 한 일간지가 보도한 기사다.
'기획재정부 최상목 1차관은 3월 16일 국회 긴급 현안질문에서 "3천8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김해신공항을 건설하겠다는 약속이 현재도 유효한가"라는 질문에 "1차 협의 때 기관 간 이견이 있었던 게 사실이나 적정 수준의 최종 수요가 산출될 것으로 안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김해신공항이 신공항이냐 김해공항 리모델링이냐"는 질문에는 "신공항 추진 방침엔 변화가 없다"고 분명하게 답했다.'
현재 진행 중인 김해공항 확장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연간 수요를 2천800만~3천200만 명으로 잡은 것으로 알려지자 부산시와 정치권이 다각적으로 벌이는 중앙정부 압박 작업의 하나로 풀이된다.
대구공항 문제가 한 걸음도 나가지 못하는 사이 김해공항 접근성 향상을 위한 고속도로망 확충, KTX 연결 등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국비 지원을 끌어낸 부산시가 대구공항 수요 잠식에 더욱 속도를 내는 형국이다.
이런 상황은 지난해 7월 대구공항 통합이전안이 발표된 후 중앙정부가 민간공항 이전은 제쳐놓은 채 군공항 이전 로드맵만 일방적으로 추진한 데서 비롯됐다. 정당한 통합공항 건설 절차라면 군공항 후보지 검토와 함께 대구경북권 항공수요를 파악해 민간공항의 위상과 규모를 설정한 뒤, 군공항 이전 후보지와 현재의 대구공항을 두고 타당성 검토를 거쳐 그 결과에 대해 후보지 주민들과 대구시민들의 의견을 물어야 마땅하다.
대구공항 통합 이전은 K2기지로 인해 고통을 겪어온 대구 동북부 지역민들의 숙원을 해결하는 동시에 대구공항을 더 편리하고 좋은 공항으로 만들어 대구경북의 하늘길을 넓히는 데 목표를 맞춰야 한다. 하지만 지금처럼 중앙정부 로드맵에 끌려가다가는 적당한 크기에 접근성은 떨어지고 운항 노선도 적은 불편한 공항이 될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이번 대선에서 대구공항에 대한 검토를 즉각 진행하여 대구권 1천만 규모 공항의 위상을 세우고, 그에 합당한 입지와 접근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확실하게 받아낼 것을 제안한다. 막연히 최선을 다해 이전을 지원하겠다거나 접근 교통망을 개선하겠다는 등의 공약은 향후 수요조사나 비용'편익 분석 등의 논리에 헛공약이 될 여지가 크다.
민간공항을 제대로 만드는 일은 대구경북의 미래와 직결된 중차대한 과제다. 대선이 끝나면 곧바로 군공항 이전 후보지인 군위, 의성과 현재의 대구공항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실시해 위상과 규모, 최선의 입지와 활성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현 대구공항 이전에 대해 불만을 가진 대구시민들뿐만 아니라 민간공항 유치의 실제 효과에 대해 반신반의하며 찬반 갈등 속에 있는 통합공항 이전 후보지 주민들의 선택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