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문재인 정부의 '방송 장악 기도'를 저지하겠다며 정기국회 의사일정을 전면 보이콧하는 등 대여투쟁에 나섰지만, 내부의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뚜렷한 명분을 찾을 수 없는 싸움을 하느라 피로감만 쌓일 뿐 여론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악수를 두고 있다는 비판까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상당수 한국당 당직자와 보좌관들 사이에서는 "당 지도부를 말리고 싶은 차원을 넘어서 자괴감이 든다"는 말까지 나온다.
한국당은 법원이 부당노동행위 혐의를 받고 있는 김장겸 MBC 사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한 다음 날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김 사장 체포영장은 문재인 정부의 언론장악 의도"라며 국회 일정 전면 보이콧을 결정했다. 한국당 의원들은 이어 대검찰청과 방송통신위원회, 서울고용노동청, 청와대를 연이어 항의 방문했다.
하지만 북한 6차 핵실험으로 한반도 안보 위기와 국민 불안감이 높아진 이때 부당노동행위 혐의로 법적 절차에 따른 체포영장 발부를 빌미로 장외투쟁이란 수단을 동원회 국회를 파행으로 몰고 가는 데 대해 당 안팎의 비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당 지도부가 즉흥적이고 감정적인 대응으로 부담을 떠안게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구경북 한 보좌진은 "2005년 사립학교법 개정 반대 투쟁 때와 정치 상황이 판이하다. 그때는 30~40% 지지를 받았지만, 현재는 국민이 공감하기 어려운 프레임을 들고 나와 대중들로부터 더 멀어지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이어 "원내대표가 '돌격 앞으로'를 외치고 일부 분기탱천한 의원이 전의를 불사르고 있는 상황에서 보좌진이 이를 말리기도 여의치 않고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또 다른 보좌진은 "검찰총장을 만나겠다고 국회의원 80명이 몰려간 건 스스로 품격을 떨어뜨린 일이다. 대여투쟁은 원내에서 상임위나 대정부 질문 등 민주적 수단을 통해 이뤄져야 국민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데, 당 지도부가 이렇듯 조급하게 무리수를 두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원은 "당 지도부가 명분 없는 싸움을 시작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야당이 된 지금 당 지도부가 방향을 정했는데 동참하지 않고 다른 목소리를 내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고 곤혹스러워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