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진로를 둘러싼 당내 '자강파'(自强派)와 '보수통합파'(保守統合派) 간 힘겨루기는 11월 말 치러질 전당대회에서 결판이 나게 됐다. 양 진영이 세 대결을 통한 진검승부로 당의 운명을 결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두 세력이 한동안 냉각기를 가지면서 전열을 가다듬은 후 정면승부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바른정당은 13일 네 시간이 넘는 토론으로 자정을 넘긴 심야 의원총회를 통해 오는 11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 지도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이혜훈 전 대표의 사퇴 이후 차기 지도체제를 두고 벌인 당내 갈등은 일단 봉합됐다.
정치권에선 김무성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한 통합파가 '유승민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를 저지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유승민 비대위 체제 불가피'로 흐르던 당내 기류를 뒤집었기 때문이다.
당 관계자는 "당내 갈등의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선 전 당원을 상대로 당의 진로를 물어야 한다는 논리가 먹혔다"며 "자강파에서 자강파로 이어지는 듯했던 당권승계 과정에 제동이 걸렸다"고 평가했다.
바른정당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 결정으로 한숨을 돌렸다.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던 자강파와 통합파 간 갈등이 한동안은 잦아들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전일이 다가올수록 양 진영 간 세 대결이 격렬해지면서 양측 간 경쟁은 불을 뿜을 전망이다. 당내 일각에선 자강파와 통합파를 실질적으로 이끌고 있는 유승민 의원과 김무성 의원이 전면에 나서는 상황도 가정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자유한국당 혁신수준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부의 판결에 대한 여론의 반응 등 앞으로 보수진영 전체를 뒤흔들 요인이 적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은 양 진영이 전열을 가다듬으면서 여론의 추이를 살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