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일본 정상이 한국에 대북 인도지원 지연 요청을 한데 대해 사실상 거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15일 아베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에서, 아베 총리가 한국정부 국제기구의 대북 인도 지원사업 시기 조절을 요구한데 대해 "이 문제는 유엔식량계획(WFP)과 유엔아동기구(UNICEF)가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에 대한 사업 지원을 요청해 검토하게 된 것"이라며 "영유아와 임산부를 지원하는 것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다뤄야 할 사안"이라고 사실상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다만 문 대통령은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현재의 제반 상황(현재의 남북관계와 북한이 핵 및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고 있는 등 제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뒤 시기 등 관련사항을 판단하게 될 것"이라며 "인도적 지원을 하게 되더라도 현금이 아니라 반드시 현물이어야 하고, 그것이 영유아나 임산부 등 필요한 사람들에게 틀림없이 전달돼야 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제대로 되는 것을 전제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는 단서를 달았다.
이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이어 이날 또 일본 상공을 넘어 미사일을 발사하는 도발을 함으로써 일본 국민들이 느낄 위협과 우려에 대한 공감을 표하면서 한 대화 내용이다.
한편 양 정상은 이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대응을 위한 한'일 양국의 공조를 평가하고, 유엔 총회 계기 등을 활용해 각급 수준에서의 긴밀한 소통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양 정상은 또 국제사회와 함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해 북한에 대해 최고 강도의 제재와 압박을 가함으로써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공유했다.
양국은 다음 주 개최되는 유엔 총회에서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단호하고 실효적인 조치를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