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스마트 도시를 향한 대구시의 과제

대구의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ICT 분야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중요하다. 해방 이후 대구는 섬유 산업의 메카로서 한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고 구미공단이 만들어지면서 대구의 위상도 같이 중요해졌다.

그러나 세계화의 여파로 섬유산업이 중국으로 떠나고 IT산업도 글로벌화되면서 1990년대 이후 침체된 대구경제가 언제쯤 어두운 터널을 빠져나올지, 새로운 성공적인 사업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회의적인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고향을 떠나 삼십 년간 국내외 첨단산업현장에서 일해 온 필자는 만감이 교차되며 깊은 고민을 하게 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해외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가까운 중국 선전 사례를 살펴보면 1982년 시진핑 주석의 선친이 경제특구를 지정할 때 거주인구 3천500명의 한적한 어촌이 지금은 평균 나이 29세, 인구 1천200만 명의 메가 도시로 성장했다. 선전은 이제 전 세계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드론산업, 통신산업과 같은 첨단산업의 메카가 되었다. 또한 항상 빠지지 않는 실리콘밸리는 인재의 산실인 스탠퍼드대학과 혁신적인 기업가들이 모여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같은 무기로 역동적으로 전 세계를 이끌고 있다.

이러한 타국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 대구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 나가야 할까. 필자는 혁신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기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대구경북에는 수도권 못지않은 세계적인 대학과 젊은 인재들이 있다. 이들이 혁신적인 꿈을 그리고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준다면 지역경제의 미래는 밝아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혁신적인 다양한 시도가 있어야 한다.

우선 무엇보다도 기존의 법질서나 관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인정해 주어야 한다. 예컨대 미래 먹거리인 자율주행차가 부담 없이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만들어 놓고 이 지역 외에 해외 모델들도 초청해야 하고, 당연히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빌미로 규제를 가하는 것은 안 될 것이다.

또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를 맞아 건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의료도 선도적으로 규제를 풀어야 한다. 대구경북 인구 520만 명 중 22.5%를 차지하는 117만 명의 어르신들의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맞춤형 정밀치료 등으로 다양한 혁신 사업들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제 우리는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의료비가 국방비보다 몇 배나 많다.

내년이면 전국 모든 초'중'고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된다.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선도할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대구경북이 앞장서야 한다. 미래를 짊어질 학생들이 교육받아야 함은 물론이고 상공인이나 농민 나아가 어르신이나 중년층 여성들도 동참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1인 1앱 만들기' 운동을 제안해 본다.

지역에 있는 대학생들이 동참한다면 수년 내 이룰 수 있는 꿈이 될 것이다. 물론 언론과 지역일꾼들이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원 역할을 해야 한다. 이같이 혁신이 꾸준히 일어나는 도시가 된다면 수년 내에 대구는 스마트 도시가 될 것이고 스마트 경제가 뒷받침하는 첨단 스마트 도시로 발전할 것이다.

"한 사람이 꿈을 꾸면 단지 꿈에 불과하지만 우리 모두가 동시에 꿈을 꾸면 현실이 된다"라는 칭기즈칸의 금언(金言)을 생각해 볼 때 지역을 이끄는 기업가나 대학, 언론, 종교단체, 사회단체들의 협력과 참여가 중요하다. 임기에 연연하지 않고 5년, 10년을 꾸준히 혁신을 촉발시키는 생태계를 만들어 나간다면 대구는 분명 한국경제를 이끄는 사람이 모여드는 글로벌 도시로 발돋움할 것이다. 5천여 대구경북 우체국 가족들은 이러한 혁신활동에 동참하고 공동체의 번영과 행복에 기꺼이 힘을 보태 나가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