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기업들의 올 추석 연휴 휴가 일수가 지난해보다 이틀가량 증가한 6.1일로 나타났다.
대구경영자총협회가 최근 144개 지역 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도 추석연휴 및 상여금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추석 휴가 일수는 평균 6.1일로 지난해 같은 시기의 4.4일보다 1.7일 증가했다.
올해 휴가가 길어진 것은 올해 추석 연휴가 대체공휴일 등과 겹쳐 총 10일에 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휴가 일수를 10일 또는 6일간 실시한다고 응답한 업체가 각각 20.8%로 나타나 가장 많았다. 이어 4일(18.8%), 5일(16.6%), 3일(12.5%) 순이었다.
기존 추석 공휴일 외에 임시공휴일과 대체공휴일에 휴무를 실시하는 방식으로는 휴가 실시 업체의 36.6%가 '일괄적으로 연차휴가를 사용한다'고 응답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기존 단체협약, 취업규칙에 따라 휴무'(34.1%), '명문화돼 있지는 않으나,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 및 대체공휴일 시행으로 관행적으로 휴무(연차 미소진)'(29.3%) 등이 있었다.
장기 추석 연휴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73.0%가 '생산량 감소 및 매출액 하락'이라고 응답해 부정적 인식이 두드러졌다.
추석상여금을 지급하는 업체는 응답 업체의 72.9%로 지난해 73.7%보다 소폭 감소했다. 추석상여금 1인당 평균지급액 또한 90만1천원으로 지난해 92만2천원 대비 2만1천원(2.3%) 줄었다. 오랜 불경기에 의해 경기가 침체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추석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업체는 응답 업체의 27.1%에 달했다. 그 이유로는 '연봉제 실시로 별도 명목이 없음'(61.5%), '명문화된 지급 규정이 없음(연봉제 미실시업체)'(23.1%), '기업 지급 여력 부족'(1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 업체의 68.7%는 올 추석 경기가 '지난해보다 악화됐다'(매우 악화 16.6%, 악화 52.1%)고 응답해 체감 불경기가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전년과 비슷한 수준'(27.1%), '개선'(4.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