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임신부 3명 중 1명은 임신 중에도 배우자의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대 간호과학연구소 이성희 교수 연구팀이 지난해 대구경북의 산부인과 전문병원 3곳을 찾은 임신부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34%(85명)가 아기를 가진 상태에서 배우자의 심리적, 육체적, 성적 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폭력의 유형별로는 아내에게 욕설을 하거나 주변 물건을 부수는 등 심리적 폭력을 행사한 경우가 32.4%(81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깨나 목을 움켜잡는 등 신체적 폭력이 8.4%(21명), 원치 않는 성관계를 강제로 시도하는 성적 폭력이 5.6%(14명)로 집계됐다. 폭력으로 타박상이나 골절 등 상해를 입은 경우도 3.6%(9명)나 됐다.
미국에서는 임신부 중 18%가 배우자의 폭력을 경험한다고 보고돼 있지만 국내 실태 조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논문은 국제산부인과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11월호에 게재됐다.
배우자의 폭력은 임신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최대 7.1배까지 더 심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신부의 학력보다 학력이 낮거나 동등한 남편은 폭력적 행위로 우위를 과시하려는 가부장적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임신부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의 난폭한 행동을 폭력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밖에도 직업이 없는 임신부가 직장 여성에 비해 배우자의 폭력을 최대 3.7배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력이 부족한 임신부의 경우 남편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 폭력을 참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풀이했다.
이성희 교수는 "임신 중 배우자 폭력은 임신부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큰 피해를 주는 만큼 산전 진찰 시 간호사나 의사가 폭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스크리닝 도구를 개발하고, 의료인의 신고 의무를 법제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