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내년도 예산안을 7조7천280억원 규모로 편성했다. 2017년도 당초 예산보다 6천422억원(9.1%) 증가한 수치다.
대구시는 31일 대구형 복지서비스 강화, 일자리 경제, 미래형 친환경 첨단산업도시 조성 등을 위해 이 같은 2018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반회계가 5조6천972억원, 특별회계가 2조308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각각 3천741억원(7%), 2천681억원(15.2%) 늘었다.
시는 노인 및 아동복지, 장애인 자립 지원 등 취약계층 지원 강화,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구형 복지정책 추진에 중점을 두고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청년 벤처창업펀드 조성, 민간'공공 부문 일자리 확대 지원 등 일자리 경제 추진과 전기차 생산도시 도약, 미래형 자동차 생산기반 구축 등 민선 6기 역점시책인 친환경 미래 신성장산업 분야에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세입예산(일반회계 기준)은 지방세 수입을 2조5천305억원으로 전년보다 604억원 증액 편성했다. 그러나 수성구의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주택거래 침체에 따른 취득세 감소 등으로 증가 폭이 2.44%에 그쳤다. 자동차세, 지방소득세, 지방소비세 등 기타 세목은 5.1%(827억원) 증가했다.
국고보조금 등은 2017년도 당초 예산보다 2천385억원(15.8%) 많은 1조7천442억원, 지방교부세는 정부 내국세 증액 편성에 따른 보통교부세 증액으로 890억원(11%) 증가한 8천993억원을 편성했다. 세외수입은 학교용지부담금특별회계 신설, 공유재산 매각대금 감소 등으로 454억원 감액한 1천103억원이다.
한편 지방채 발행 및 보전 재원은 재정 건전성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일자리 등 꼭 필요한 투자사업에 최소 한도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보다 316억원(2.8%) 늘어난 4천129억원을 편성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