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 단추 제작한 그리푸아 공방
1930년대 자수업자, 깃털 공예가, 주름 장인, 구두 제작자, 단추 제작자 등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장인들은 통칭 보석 세공사나 장식품 제작자라는 뜻의 '파리뤼에'라 불렸다. 고급 맞춤복인 오트 쿠튀르가 발달하면서, 파리뤼에들은 매 계절마다 디자이너들을 위한 새로운 제품을 제작했다. 장식품 제작자와 디자이너들의 긴밀한 협업은 이러한 교류에서 비롯되었다. 누구보다도 디자이너 폴 푸아레가 단추의 독창성을 모색하고 자극했으며, 스키아파렐리가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은 파리뤼에에게 작업을 부탁했는데, 파리뤼에 각자는 저마다의 스타일과 선호하는 소재를 가지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진주 공방 가운데 하나였던 루슬레는 자개 단추를 제작했으며, 르 마르샹은 가죽 공예가 전문이었고, 로제 세마마는 보석으로 유명했는데, 이들은 의상용 보석의 세계와 단추가 어떻게 연계되었는지를 잘 보여준다.
1950년대 제2차 세계대전이 종식 된 후 파리뤼에는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전쟁이 끝나자, 여성들은 지난 시대의 빈곤과 제약을 잊고, 다시 한 번 자신들의 여성성을 최대한 드러낼 수 있는 좀 더 세련된 패션을 갈망했다. 단추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여성의 몸매를 강조하여 세련된 분위기를 더해 주었다. 패션 잡지에는 단추만을 다루는 기사들이 실렸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면서 새로운 디자이너들의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장식품 공방들이 새로 개업을 하였다. 로제 장-피에르와 프란시스 윈터의 작품은 크리스찬 디올의 드레스를 장식했으며, 그리푸아 공방은 특히 샤넬을 위해 많은 단추를 제작했다. 본래 마들렌 비오네를 위해서만 작업했던 조르주 데뤼는 나중에 발렌시아가, 자크 파트 그리고 위베르 드 지방시의 주문제작을 맡기도 하였다. 미리암 하스켈의 경우 1924년 뉴욕에 '시간의 보석'이라는 이름의 단추 공방을 만들었는데, 이 이름만 보아도 유럽 문화와 로코코 양식에 대한 그녀의 애정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렇듯 20세기 중반 파리뤼에는 독창적인 장식 디자이너로서 패션계에서 자신들의 존재감을 점차 높이기 시작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