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직장 개념이 흐려지면서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지금 하는 일의 미래가 불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직장인 576명을 대상으로 '현재 직업 및 직무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대해 조사한 결과, 73.8%가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불안감이 가장 큰 직종 1위는 '조선'중공업'(83.3%)이었다. 이어 '금융'보험'(80%), '기계'철강'(80%), '전기'전자'(78.3%), '석유'화학'(77.8%), '정보통신'IT'(76.3%). '제조'(73.9%) 등의 순이었다.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로는 '수입이 줄어서'(46.6%,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오래 일하기 어려운 직종이라서'(34.1%), '업무량이 많아서'(28.9%), '향후 없어질 가능성이 높은 직종이라서'(23.8%), '체력소모가 많은 직종이라서'(12.7%)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의 79.5%는 직업에 대한 불안감 탓에 건강에 악영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현재 '만성피로'(62.4%, 복수응답)를 겪는다고 응답한 직장인이 가장 많았다. 이 밖에 '수면장애'(46.7%), '잦은 두통'(34.9%), '장염 등 소화불량'(34.3%), '피부 트러블'(25.4%), '탈모'(19.2%) 등이 이어졌다.
응답자의 77.8%는 다른 직종으로 전향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 방식으로는 '직무를 전환해 재취업'(61.2%)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관련 산업'직무 창업'(25%), '전혀 다른 분야 창업'(10.9%), '가업 물려받음'(0.7%) 등을 들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