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은 한'중 관계 복원을 정상 차원에서 공식화했다는 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
지난달 31일 양국 정부 간 합의에 따라 미래지향적 발전을 추진한다는 데 양국 정상이 뜻을 모은 것이다.
이날 회담 모두발언에서부터 관계 개선에 대한 양국 정상의 강한 의지가 묻어났다. 시 주석은 먼저 "문 대통령을 다시 만나 아주 기쁘다"며 "오늘 우리 회동은 앞으로 양국 관계 발전과 한반도 문제에 있어 양측의 협력, 그리고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비 온 뒤 땅이 굳는다'는 한국 속담이 있다. 매경한고(梅經寒苦)라고 '봄을 알리는 매화는 겨울 추위를 이겨낸다'는 중국 사자성어도 있다"며 "한중 관계가 일시적으로 어려웠지만, 한편으로는 서로의 소중함을 재확인하는 시간이었다. 한중 간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할 수 있게 양측이 함께 노력하길 바라 마지않는다"고 강조했다.
당초 예정보다 20분을 더해 모두 50분간 대화를 나눈 두 정상은 별도의 합의문을 내놓지 않았지만, 결과 브리핑 형태로 관계 개선의 '핵심 요소'에 대한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회담의 최대 결과물은 문 대통령의 12월 베이징(北京) 방문에 양국 정상이 합의한 것이다. 이는 정상 간의 교류로 본격적인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의 방중 초청에 상응해 시 주석에게 내년 평창올림픽에 맞춰 방한해줄 것을 요청했다. 시 주석은 "방한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만일 사정이 여의치 못해 못 가더라도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화답했다.
두 정상은 당초 사드 문제를 의제로 삼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사드 문제에 대한 양측의 기본적 입장을 확인한 뒤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정상궤도로 조속히 회복시키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와 관련, 시 주석은 사드 배치와 관련해 한국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고,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사드는 중국을 겨냥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고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이와 관련, 시 주석은 사드 합의에 대해 "새로운 출발이고 좋은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보다 의미 있게 평가할 수 있는 성과물은 양국의 최대 공통 현안인 북핵 해결을 위한 소통과 협력을 가일층 강화하기로 한 점이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현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북핵 문제는 궁극적으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로 뜻을 모았다.
양국은 이를 위해 각급 차원에서 북핵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전략대화'를 강화해 나간다는 데 합의했다.
실제로 이날 회담에서는 두 정상의 북핵 접근법이 거론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핵 동결을 입구로, 비핵화를 출구로 삼는 문 대통령의 2단계 북핵 해법 구상과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연합 군사훈련 동시 중단이라는 시 주석의 '쌍중단'(雙中斷)론을 놓고 정상 차원에서 일정한 의견 교환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구체적 내용은 말하지 못한다"며 언급을 삼갔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정상은 공통의 북핵 해결 로드맵을 그려내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