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육부 '나노디그리(nano degree)' 내년 운영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 활용

10개 분야 직무능력 인증 학습과정 나온다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직무능력을 단기간에 온라인으로 습득하고 취업에도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를 활용한 한국형 '나노디그리'(nano degree)를 2018년 7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최근 밝혔다.

나노디그리는 미국의 온라인 공개강좌(MOOC) 기업인 유다시티가 기업의 요구를 반영해 6개월 안팎으로 운영하는 학습과정을 일컫는다. 학습과정을 이수하면 인증서를 받아 취업이나 교육훈련 이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형 나노디그리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인 '케이-무크'와 현장실습 등을 묶어서 6개월 안팎의 단기 교육과정으로 운영한다. 가상현실(AR)과 증강현실(VR),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인공지능(AI), 전기자동차, 대체 에너지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10개 과정을 시범운영한다.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삼성, LG 등 대표기업 명의의 인증서를 받아 관련 분야 취업이나 교육훈련, 학점 인정 등에 활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산업별 협의체, 기업 관계자,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상설자문단을 구성해 미래 유망분야의 대표'선도기업을 선정하고 업무협약(MOU)을 맺을 예정이다.

교육부는 나노디그리는 기존 직업교육 훈련 프로그램과 달리 기업이 학습자의 직무능력을 직접 평가할 수 있어 인재를 채용할 때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내년 1월까지 유망 분야와 참여 기업을 선정하고, 상반기까지 직무별 교육기관 선정과 프로그램 개발을 끝낸 뒤 7월부터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