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을 모르니 살맛이 안 나요." 음식 맛을 느끼지 못한다며 진료실을 찾는 환자들은 하소연한다. 미각은 삶에 즐거움을 선사한다. 아울러 생명 유지에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도록 돕고, 먹을 수 없는 물질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 몸에서 미각을 관장하는 기관은 혀다. 혀에는 유두라는 점막 돌기가 있고 그 속에 맛봉오리(미뢰)가 있다. 이곳에 입력된 정보는 전기 신호로 바뀐 뒤 미각 신경을 통해 대뇌피질의 미각중추로 전달된다. 미각 장애란 이 과정에 이상이 생겨 음식 맛을 느끼지 못하거나 희미하게 느끼는 증상이다. 미각 장애의 가장 큰 원인은 후각 이상이다. 음식 맛은 대부분 향으로 느끼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항암제를 비롯한 약물의 영향이나 구강질환, 영양 결핍 등도 미각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면 시력 저하를 걱정하는 이들은 많지만, 음식 맛이 밍밍할 때 미각 저하를 우려하는 이들은 적다. 미각 장애도 중증이 되면 치료가 쉽지 않으므로 미각 역치 검사 등을 이용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최근에는 기능적 미각 변화를 호소하는 환자도 늘고 있다. 매운맛, 짠맛 등 점점 강한 맛을 선호하면서 미각이 점점 둔해지는 증상이다. 화학조미료나 설탕, 소금 등의 과다 섭취가 주된 원인이다. 이러한 식습관이 지속될 경우 고혈압, 당뇨,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 옅은 맛을 맛있게 느낄 수 있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미각도 지키고 건강도 유지할 수 있다.
우리가 미각으로 느낄 수 있는 5가지 기본 맛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이다. 그런데 우리가 서서히 잃어버린 한 가지 맛이 있다. 혀가 아니라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인간미'(人間味)다.
섣달 그믐이면 구리 료헤이의 소설 '우동 한 그릇'이 떠오른다. 우동 집 문을 닫을 시간, 초라한 행색의 여인이 두 아들과 함께 조심스럽게 들어와 우동 한 그릇을 주문한다. 주인아저씨는 슬그머니 1인분 반의 우동을 내놓는다. 이듬해에도 세 모자는 같은 날 우동 집을 찾아온다. 아내는 3인분을 삶자고 하지만 주인아저씨는 '그렇게 하면 저들이 거북하게 여길 것'이라며 역시 1인분 반의 우동을 내놓는다. 세월이 흐른 후 성공한 두 아들이 우동 집을 찾아와 우동 3인분을 주문하고 주인 내외의 따뜻한 배려에 감사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난다.
우동 집 내외가 보여준 맛이 진정한 '인간미'가 아닐까? 드러내기 위한 선행이 아니라 상대방의 처지에 대한 헤아림이 있는 배려에서 우리는 따뜻한 '인간미'를 느낀다. 주변에 어렵게 살아가는 이웃들이 많은데도 애써 외면하며 지난 1년을 산 것 같아 부끄럽다. 또다시 한 해의 끄트머리를 향해 가고 있다. 따뜻한 정이 그리운 어려운 이웃들과 '인간미'를 나누는 연말이 되면 좋겠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