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올해 말까지 안심연료단지를 철거하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 연탄 업체들이 대체 부지 해결을 요구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동구 안심연료단지 도시개발사업은 전체 부지 중 98%를 확보했다.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지장물 철거 공사를 시작해 대다수 업체에 대한 보상 및 이전 절차를 마쳤다. 올 상반기 중 토지를 모두 확보해 2천 가구 규모의 안심뉴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석면 제거 승인을 받은 건물을 우선 철거하고 있으며 현재 공정률은 4%다. 이달 중 기반 조성 공사 설계도를 작성해 이르면 4월 말 착공할 예정이다.
현재 연료단지에 남은 업체는 ▷대영연탄 ▷태영C&E ▷한성연탄 등 연탄 제조업체 3곳과 아스콘 업체인 ▷삼덕아스콘, 레미콘 업체인 ▷쌍용레미콘 ▷태영레미콘 등 모두 6곳이다. 레미콘 업체들은 이달 중 영업을 중단할 예정이고, 태영C&E는 오는 4월까지 영업한 뒤 철거하기로 했다.
그러나 한성연탄과 대영연탄, 삼덕아스콘 등 3곳은 대구시에 대체 부지 마련을 요구하며 이전에 반발하고 있다. 석탄산업법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는 기존의 석탄 및 아스콘 가공공장을 교외로 이전할 때 새로운 연료단지를 조성하는 등 이전 대책을 마련하거나, 수의계약을 거쳐 매각 절차를 밟아야 한다는 것이다.
업체들은 "대구시가 대체 부지를 스스로 찾으라며 사실상 대책 마련에 손을 놓은 상황이라 이전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연탄 수요가 점차 줄고 있는 데다 사업지를 교외로 옮길 경우 신규 설비투자 부담으로 경쟁력을 잃어 폐업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는 점도 이유로 들었다. 삼덕아스콘도 안심공업단지로 이전하고자 부지까지 매입했지만 동구청이 환경오염과 주민 반발 등을 이유로 이전 승인을 내지 않아 속앓이를 하고 있다.
연탄 업체들은 지역 내 공공부지를 7~10년간이라도 임차해 쓸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남창수 한성연탄 대표는 "인근 주민들의 건강 악화가 미미한데도 일방적으로 내모는 건 지나친 처사"라며 "대체 부지만 마련해 주면 연탄 수요가 줄어들 때까지만 영업을 하겠다. 우리가 이전지 주민 설득도 하고 대구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도 매일 받겠다"고 했다.
대구시는 석탄산업법의 '대체 부지 마련' 조항은 신규 연료단지 조성 시에만 적용된다고 반박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연탄 사업은 사양 사업이고 연료 산업에 대한 국가 시책도 축소되는 추세"라며 "적법한 절차에 따라 안심뉴타운을 조성하고 있다"고 맞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