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밝은 눈 클리닉] 일광망막병증, 설맹증(자외선각막화상)

잘보는안과의원 이정호 원장
잘보는안과의원 이정호 원장

강한 햇빛에 노출되는 경우 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것이 여름에는 발생할 수 있는 일광망막병증과 겨울에 스키장과 같이 눈이 많은 곳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설맹증이 있습니다. 이런 병이 생기는 원인은 햇빛에 있는 유해한 광선인 자외선과 적외선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람의 눈은 해로운 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전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다름아닌 검은 동자인 각막, 전방수, 수정체 등은 해로운 광선의 대부분을 흡수하며, 동공은 빛에 노출되는 경우 동공이 줄어들게 되어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신경조직인 망막을 보호해 주어 햇빛으로부터 안전하게 있도록 해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유해한 광선은 눈속으로 투과되어 신경조직에 손상을 주게 됩니다. 특히, 망막시세포나 망막색소상피에 유해한 광선이 투과하여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일광망막병증이라고 합니다.

일광망막병증은 종교적인 이유나 다른 이유로 인해 태양을 쳐다보는 행동을 하는 경우, 무수정체나 백내장수술을 받은 경우, 직업적으로 아크용접이나 적당한 보호장구 없이 일식에 해를 쳐다보는 경우, 강한 태양아래에서 일광욕 등의 환경에서 잘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비교적 나이가 젊은 사람들이 눈의 노화가 있는 노인보다 유해한 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발생위험이 더 높고, 남자에서 더 잘 발생합니다. 또한 체온이 높아져 있는 경우 열에 의한 손상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일광망막병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두눈 혹은 한눈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력저하 및 사물이 휘어보이거나 작게 보이는 증상, 중심부나 중심부 근처 암점, 무색의 물체가 얇게 착색되어 보이는 증상, 눈부심,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은 강한 햇빛에 노출된 직후에는 정밀안저검사를 하더라도 육안으로 보는 경우 아무렇지 않게 보일 수 있습니다만 최근 여러 검사장비의 발달로 빛간섭단층촬영을 하면 손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안저검사에서도 발견이 되며, 자가형광안저촬영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일광망막병증으로 인한 시력손상은 대부분의 경우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력적 예후는 처음 수상 후 시력정도와 회복정도에 따라 좌우된다고 합니다. 특히,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서 시세포 손상이 심한 경우 더욱더 시력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광망막병증의 치료로는 현재까지 완치에 관한 치료법은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직접적으로 해를 바라보는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야외 노출이 심한 경우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썬글라스나 모자를 꼭 착용하여야 하며, 직업적으로 레이저광선에 노출되거나 아크 용접을 해야하는 경우 보호장구를 꼭 갖추고 작업에 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당한 수분섭취와 휴식이 필요한 무더위 여름철, 눈의 건강을 위해 꼭 기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도움말: 잘보는안과의원 이정호 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