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해안 절경 파괴하는 울릉도 도로 공사 당장 중단하라

울릉도의 아름다운 해안선이 도로 공사로 인해 처참하게 망가지고 있다. 울릉도에 가본 사람이라면 넘실거리는 푸른 바다와 해안가의 기기묘묘한 바위 자갈이 어우러진 절경을 기억할 것이다. 해안 일주도로를 약간 넓히기 위해 천혜의 자연환경이 부서지고 사라지게 됐다니 어처구니가 없다.

이 같은 상황은 지난해 초부터 경북도가 1천424억원을 들여 일주도로 20.44㎞ 개량 공사를 하면서 빚어졌다. 해안선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북면도로에서 공사가 벌어지고 있는데, 검은색 조면암이 늘어선 절경을 다시는 볼 수 없게 됐다. 현재의 평균 도로 폭 6m를 8m로 넓히기 위한 공사에 불과할진대, 자연환경 파괴를 당연시하면서 진행되고 있다니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도로 폭 2m를 넓히기 위해 해안선을 마구 파괴하는 이유는 공사의 편의성 때문이다. 울릉도의 도로가 해안선에 걸쳐 있어 공사를 하기 힘든 부분도 있지만, 손쉽게 공사를 하려다 보니 환경 파괴는 필연적이다. 옹벽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공사를 하면 환경 파괴를 막을 수 있는데도, 완만하게 옹벽을 쌓아 올려 10m 이상의 해안선을 망가뜨리고 있다.

시공사 측은 수직으로 옹벽을 쌓으면 차량 교행이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해명했지만, 공사에서 맨 먼저 고려할 것은 자연환경 훼손 여부다. 이런 공사는 안 하느니 못하다. 주민 편의를 도모한다는 이유로 환경 파괴를 서슴지 않는 것은 ‘소탐대실’의 전형이다. 울릉도가 아닌 곳에서 환경 파괴적인 공사가 행해졌다면 언론이나 환경단체가 가만히 있었을까.

이는 경북도와 울릉군의 무사안일이 빚어낸 참사다. 공사를 중단시키더라도, 자연환경 훼손부터 막아야 한다. 환경 파괴가 뻔한데도, 공사를 허가한 경위도 조사해야 한다. 행정기관이 환경 파괴를 막는 것은 이 시대의 책무임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