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의 최고 대목으로 꼽히는 추석 명절(24일)을 앞두고, 하루 전날인 23일이 대구지역 대형마트 의무휴무일이 되면서 전통시장 상인들과 대형마트, 그리고 시민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전통시장 상인들은 차례상을 장만하려는 손님 대다수가 시장으로 몰릴것으로 예상되면서 간만에 대목 다운 대목을 누릴 수 있게 된 반면, 주부들은 장보기 대란을 우려하고 있다. 대형마트들은 "최악의 추석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며 볼멘 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대구지역 22개 대형마트는 매월 둘째, 넷째주 일요일 의무적으로 문을 닫아야 한다. 이 달의 경우 9일과 23일이 휴무일이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추석을 하루 앞둔 일요일이 휴무일이 되면서 매출에 비상이 걸렸다. 명절 하루 전날 차례상 음식을 준비하고, 선물을 구매하는 이들이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안 그래도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돼 있는데, 의무 휴업으로 인해 추석 특수도 기대하기 어렵다"며 "조정을 요청해 볼까 고민도 했지만, 지금까지 상생위원회 분위기 상 말을 꺼낼 필요조차 없을 것 같아 포기했다"고 했다. 경산과 구미, 상주 등 경북 일부 지역의 경우 협의를 통해 휴무일을 조정한 곳도 있다.
소비자들은 벌써부터 '장보기 대란'을 우려하고 있다. 미리 마트에서 장을 봐 두려는 이들이 21일과 22일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23일에는 전통시장 인근은 주차난 등으로 전쟁터를 방불케 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주부 박순정(50)씨는 "전통시장 상권 보호도 좋지만 명절 만큼은 융통성을 좀 발휘해도 좋을 것 같다"며 "전통시장은 문을 일찍 닫기 때문에 혹여나 장 보면서 빠뜨린 것이라도 있으면 난감할 것"이라고 걱정했다.
대구시는 의무휴업 규정이 기초단체 관할 사항이기 때문에 손을 놓고 있을 뿐이다. 시는 현재 추석 무렵 전통시장 주변 대로변 주차를 허용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