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원전해체산업 지역기반 육성 계획 발표

원전해체산업 선점을 위한 경상북도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도는 정부가 발표를 미루고 있는 원자력해체연구소 유치 여부와 무관하게 원전해체사업을 육성하겠다는 복안이다.

경북도는 10일 '원전해체산업 지역기반 육성'을 위한 4대 전략을 발표했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올해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결정 등 국내 원전해체산업이 2022년부터 본격화하면 2030년 총 12기가 해체 대상이 돼 약 9조원 규모(1기 해체당 7천515억원)의 원전해체 시장이 형성된다.

세계적으로도 영구 정지된 원전이 166기에 이르는 가운데 미국과 독일, 일본 등 3개국만이 해체 실적을 보유하고 있어 원전해체 산업에 신규 진입을 통한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큰 상태다.

이에 경북도는 4대 전략목표를 기반으로 세부 실행과제 추진에 나섰다.

우선 해체산업 기반 강화를 위해 도내 중소기업 20여 곳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2022년까지 행정·재정적 지원을 한다. 이를 통해 지역기업의 역량 강화, 해체기술 확보 등 전문기업을 육성한다.

또 원전해체산업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학이 보유한 방사능 제염 등 우수한 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고,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기업에 기술 이전비를 지원한다. 드론, 로봇 활용 등과 연계된 원자력 신산업 아이디어를 공모해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지원책을 마련, 사업화할 구상이다.

또 원자력 관련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금속, 방사선 등 원전산업 분야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고, 내년 4월 개원하는 '원전현장인력양성원'(경주)을 중심으로 원전해체 전문인재도 키운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제도기반 마련을 위해 경상북도 원전해체산업 육성 협의회를 구성한다. 이곳에는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 교육기관, 연구기관 등 20여 명이 참여해 네트워크를 구축, 산·학·연 간 기술 교류를 확대한다.

아울러 '경상북도 원전해체산업 육성 조례'를 제정, 경북도의 원전해체 산업 및 전문 인재 육성과 지원에 관한 사항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한다.

김세환 경북도 동해안전략사업국장은 "현재 국내에는 원전해체 관련 전문인력과 기술기반 인프라가 선진국보다 미흡하다"며 "이번 계획이 본궤도에 오르면 앞으로 원전해체 사업에 도내 기업이 대거 참여하고, 세계 원전해체 시장에도 도내 기업도 진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