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7개월 후 엘니뇨도 예측…자연재해 줄일 수 있다"

[{IMG01}]

국종성 포스텍 교수 등 공동연구

대서양 온난역 해수온 연관 파악

기존 열대 태평양 발생설 뒤집어

지구에서 두 번째로 뜨거운 바다인 대서양 해수면 수온이 17개월 뒤 발생하는 엘니뇨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특히 현재까지 알려진 엘니뇨 발생 원인과 전혀 다른 이유라는 점에서 학계의 관심이 높다.

엘니뇨는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열대 지역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의 강수량과 대기 순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상기후와 어장 파괴, 농작물 흉작 등을 일으키는 엘니뇨가 고작 6개월 전에야 예측 가능했기 때문에 그간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로만 여겨졌다.

포스텍 환경공학부 국종성 교수·박재흥 박사(하와이대학교) 팀은 하와이대, 일본해양과학기술센터와 공동으로 대서양 온난역(대서양 웜풀)을 통해 17개월 이후의 엘니뇨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일 자(현지시간)를 통해 발표했다. 엘니뇨 예측이 크게 앞당겨지면서 피해 규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아메리카대륙의 남과 북에 있는 대서양 온난역 지역의 해수면 수온과 엘니뇨의 상관관계 파악에 주력했다.

우선 여름철 동태평양-서대서양 온난역의 해수면 수온에 변화가 생기면 북태평양의 대기와 해양이 상호작용을 통해 그다음 해 봄, 북태평양 난류의 순환 패턴(PMM)이 일어나게 된다. 순환 패턴은 다시 적도 태평양의 해양파를 일으키며 겨울철 엘니뇨 발생을 유도한다. 이 지역의 해수면 수온 상승·하강이 17개월 이후의 엘니뇨를 끌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그간 엘니뇨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던 태평양 효과나 인도양 효과와는 별개의 특성을 가지며, 예측 기간 역시 1년 이상 길면서도 정확성도 기존 예측 인자보다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포스텍 국종성 교수는 "최근 엘니뇨가 여러 지역에서 나타나면서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대서양에 있는 온난역이 엘니뇨를 유도하는 데 중요한 인과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은 이런 어려움을 해결해 줄 중요한 대안이 될 것이다. 앞으로 대서양 온난역에 대한 기후학적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