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심 대기질 되려 악화시키는 대구시의 대기 환경 정책 비판

대구환경연합, 대구경실련 공동성명 “관련 정보 투명하게 공개해야”

대구시의 환경 정책이 시민 건강을 외면한 채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이 대구 전역으로 확산되는데도 대책이 없는데다 열병합발전소와 폐기물 소각시설을 확대하는 등 대기 환경을 악화시킨다는 것이다.

10일 대구환경운동연합과 대구경실련은 공동 성명을 내고 대구시가 도심 산단 발암물질과 성서 바이오SRF 열병합발전소 신축, 지역난방공사의 벙커C유 연료 사용, 성서소각장 재건축 추진 등 환경 이슈에 역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016년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의 ‘대구 도심산단 공해 해결방안 연구 용역’과 2014년 환경부 조사 등에서 도심 산단 내부와 주변 지역의 호흡기질환 및 암 발생률이 크게 높은데도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한국맥쿼리그룹 계열사인 리클린홀딩스의 자회사가 건립해 이달 중 가동할 예정인 발전용량 15MW 규모의 바이오SRF 열병합발전소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달서구 월암동 성서2차산단에 들어서는 이 시설은 시간당 50t의 스팀과 전기를 생산, 판매할 예정이다. 그러나 발전 연료로 사용되는 바이오SRF가 폐목재, 폐지, 농업폐기물 등 생물성 폐기물로 만든 고형연료여서 연소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민사회단체들은 민자 투자 방식으로 진행 중인 성서생활폐기물소각장 재건축 계획도 문제 삼았다. 2016년 내구연한이 지난 소각로 1호기를 대신해 하루 360t 규모 소각로를 짓게 되면 대기오염 유발물질이 늘고, 폐기물 처리비용 부담을 시민이 떠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밖에도 지역난방공사가 유해연료인 벙커C유를 2022년까지 지속 사용하는데도 시가 감시감독을 하지 않고 있고, 달성2차산단 내 설치한 폐기물처리시설을 10여 년간 방치하고도 신규 소각로를 설치하는 점 등도 지적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대구시가 환경이나 폐기물 등 공개하기 불편한 문제는 항상 몰래 처리한다.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충분히 설명해 이해를 구하는 행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올해 말까지 발암물질 배출 저감방안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성서소각장은 재건축 시점에 맞춰 현재 가동 중인 소각로 2·3호기를 폐쇄하며, 민간 투자방식은 실익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소각장은 국내 배출기준보다 10배나 엄격하게 배출물질을 제한하고 있으며, 향후 소각 대상 폐기물을 점차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