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폐기물 갈 길 잃다, 소각장·매립장 후속 대책 내놔야

산업폐기물 처리 문제도 '뜨거운 감자', "대구시, 산단 조성 때 폐기물처리장 조성 의무 못해"

10일 대구 달성군 방천리 쓰레기매립장과 아파트 단지.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10일 대구 달성군 방천리 쓰레기매립장과 아파트 단지.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대구의 생활·산업폐기물 배출량이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소각장과 매립장 등 폐기물처리장의 사용연한이 끝나가고 있다. 관련 업계는 미리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지만 대구시는 아직 구체적인 방침을 내놓지 않고 있다.

폐기물 수거업계는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태워서 처리하는 대구 공공 폐기물 소각장이 모두 내구연한을 넘긴 상황이어서 새 소각장 설치 등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11일 대구시는 성서생활폐기물소각장 내 소각로 폐쇄 및 민간투자 방식 재건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10월 한국종합기술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민간투자 방식으로 신규 소각로를 지을 때의 운영 방안과 경제성,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활용 방안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가동 중인 소각로 2·3호기는 통상 소각로의 내구 연한인 15년을 5년 이상 넘긴 상태다. 가동 25년 만인 지난 2016년 폐쇄한 소각로 1호기 사례에 비춰 볼 때 2·3호기도 25년째를 맞는 2023년 무렵 폐쇄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불연성 폐기물을 매립하는 대구방천리위생매립장은 매립연한이 2066년까지로 48년 가량 더 쓸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사용 연한이 끝나면 주민 반발, 외곽지역의 도심화로 인해 더 이상 대구에서는 매립장을 신설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후속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폐기물 처리 수요는 대구의 인구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 인구 1인당 하루 폐기물 배출량은 평균 0.96㎏에 이른다. 2015년 0.91㎏보다 5.5% 정도 늘어난 것이다. 일회용품 사용량이 많은 1인 가구의 폐기물 배출량이 일반적인 4인 가구의 폐기물 배출량보다 많은 점을 고려하면 장래 1인 가구가 증가할 수록 폐기물 처리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업들도 대구시가 산업폐기물 처리 문제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한다. 앞서 대구시가 달성 2차 산단 내 폐기물처리장을 설치하고도 수요 예측에 실패해 10년 간 가동하지 못하다 올 들어 사실상 폐쇄를 결정한 일이 계기가 됐다.

대구 한 섬유 제조업체 관계자는 "대구시는 산업단지를 조성할 때마다 기업 유치에 열을 올렸다. 그러면서도 조성과 기업 유치가 끝나면 후속 관리는 등한시했다"며 "산단 내 폐기물 처리장을 조성하도록 한 관련 법만 제대로 따르고 달성 2차 산단 폐기물처리장의 수요 예측만 잘 했어도 지금 같은 불편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