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정부 337개 공공기관장 인사 '대구 패싱' 심각

文 정부 221명 임명에 서울 출신 43명(19.5%), 대구 출신은 고작 5명(2.3%)

지역 간 통합과 화합을 강조하며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부터 단행한 221개 공공기관 기관장 인사에서 '대구 출신 배제'와 특정지역 편중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추경호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대구 달성)이 공공기관 337곳(공기업 35곳, 준정부기관 93곳, 기타 공공기관 209곳)으로부터 받은 기관장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임명한 공공기관장 221명 중 대구 출신은 5명(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장 출신지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경기 등 수도권 출신이 56명(25.3%)으로 가장 많았다. 광주호남 출신이 46명(20.8%), 대전충청 출신이 43명(19.5%)으로 그 뒤를 이었다. 세 권역 출신만 합해도 145명인데, 이는 전체 임명 기관장의 66%에 달한다. 부산경남 출신은 34명(15.4%)이었다. 대구경북(TK)은 28명(12.7%)으로 강원과 제주를 제외하면 가장 적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출신이 43명(19.5%)으로 가장 많았다. 경북이 23명(10.4%)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전남과 충남이 각 19명(8.6%)으로 그다음이었다. 이어 전북 18명(8.1%), 부산 17명(7.7%) 순이었다.

반면 대구 출신은 5명(2.3%)에 그쳤다. 이 중 한 자리는 경북대병원장이었다. 게다가 221개 기관 가운데 문 대통령이 직접 임명한 대구 출신 기관장은 이정우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한 명뿐이었다. 문 대통령은 63개 기관장을 직접 임명했다. 경북대병원장 등 대구 출신 기관장 나머지 네 자리는 교육부 장관 등 담당 부처 장관이 임명하거나 이사회 의결을 통해 선임하는 곳이다.

추 의원은 "문 대통령은 대통령 후보 시절이었던 지난해 3월 26일 대구시의회에서 대구경북 비전을 발표하면서 '대구경북과 함께 가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예산·인사 등 국정 운영 곳곳에서 'TK 홀대'가 불거지면서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면서 "앞으로 특정지역 차별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지역 간 균형을 갖춘 탕평인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