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국 경기가 둔화할 것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고 신호가 외환위기 이후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출을 제외한 한국 경제 지표가 고르게 나빠지고 성장률 전망치도 줄줄이 떨어지며 경제위기론마저 부상하는 상황이어서 불황의 긴 터널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28일 OECD에 따르면 올해 8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내린 99.2를 기록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한국은행·통계청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 차, 수출입물가비율,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 등 6개 지수를 활용해 산출한다.
통상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경기 하강으로 해석한다. 특히 상승 흐름인지 하강 흐름인지가 중요하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7개월째 전월 대비로 하락한 데다가 올 4월부터는 100을 밑돌아 경기에 적신호가 켜진 지 오래다.
선행지수는 작년 3월 101.0을 정점으로 꾸준히 하락해 이 기간 1.8포인트나 내렸다.
외환위기 시절과 그 여파가 있었던 1999년 9월∼2001년 4월 20개월 연속 전월 대비로 하락한 이후 가장 긴 내림세다.
다른 경제 지표를 보면 한국경제가 성장세를 멈추고 하강 국면으로 진입했다는 분석에 무게 추가 옮겨가는 모습이다.
고용은 지난 2월 이후 꾸준히 부진한 상황이다. 9월까지 취업자 증가 폭은 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에 그쳤다.
현 경기 상황이 하강에 방점이 찍혀 있는 마당에 6∼9개월 뒤 경기 흐름 예측도 하강 흐름으로 예측된다는 것은 장기 불황의 우려가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