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미술인과 시민단체가 간송미술관 대구 분관 건립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간송 전형필 선생의 업적이 훌륭하다고 해도, 개인 소유의 미술관을 예산으로 짓고 운영비까지 지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들의 논리는 타당성이 있다. 솔직히, 대구 분관은 서울 본관의 ‘짝퉁’일 수도 있는데, 수백억원을 쏟아붓기에는 격에 맞지 않다.
미술인들의 반대 논리 가운데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건립비 400억원에 운영비 매년 50억원 제공이다. 거기다, 미술관 운영권도 간송미술문화재단 측에 넘겨준다고 했다. 얼핏 보면 파격적인 혜택이다. 외지 관광객을 대거 유인할 수 있고, 대구만의 자랑거리가 될 수 있다면 이 정도 혜택은 아무것도 아닐지 모른다.
대단히 아쉽지만, 간송미술관 대구 분관은 그 정도 역할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외지인이 이 전시물을 보려고 굳이 대구 분관을 찾아올 이유가 없다. 문화재 전시가 지역 청장년 세대의 관심을 끌 수 있을지도 의문스럽다.
건립되면 몇년간은 각광을 받겠지만, 그 뒤에는 초중고생의 체험학습장으로 만족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대구시는 신윤복의 ‘미인도’ 등을 소장하는 효과가 있다고 해명했지만, 대구경주 국립박물관의 활용도를 떠올리면 얼마나 궁색한 해명인지 알 수 있다.
간송미술관 대구 분관은 글로벌 감각과 시대 흐름에 뒤처진 대구 문화 행정의 난맥상을 보여주는 사례다. 대구 분관은 아직 설계에도 들어가지 않은 만큼 재검토할 수 있는 시간이 남아 있다. 대구시가 미술인들을 달래는 형식을 취하고는, 이대로 건립을 추진해선 안 된다. 이 정도 예산이라면 ‘대구만의 세계적인 볼거리’를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대구 분관이라는 명칭부터 틀렸다. 혈세 쓰고 시민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일이 아닌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