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과거 얽매인 논란 접고 구미 발전에 모두 힘 모을 때다

새마을과를 시민공동체과로 바꾸기로 했던 장세용 구미시장이 구미시의회 등의 반발로 결국 그대로 두기로 했다. 새마을을 포함한 과(課) 명칭 세 가지를 구미시의회에 제안했으나 하루 만에 철회한 것이다. 새마을과 명칭 변경 논란으로 소모적 논쟁이 벌어진 것을 고려하면 장 시장의 결단은 긍정적이다.

시민공동체 활성화를 위한다는 애초 취지와 달리 새마을과 명칭 변경은 논란을 불러왔다. 사태가 일단락됐지만 장 시장과 구미시가 괜한 평지풍파를 일으킨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애초부터 새마을과 명칭 변경은 불가능했다. 구미시의회 22명 시의원 중 자유한국당 12명, 바른미래당 1명 등 13명이 새마을과 명칭 변경 자체를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논란을 매듭짓는 차원에서 새마을과 존치는 타당한 일이다.

장 시장 취임 후 새마을과 명칭 변경 논란을 비롯해 박정희 대통령 흔적 지우기 논란, 대구 취수원 이전 논란, 보수·진보단체 대립, 구미 경제 추락 등 구미가 연일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장 시장이 대구경북에서 유일한 민주당 소속 단체장이기 때문에 거쳐야 할 과정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구미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면 이럴 계제가 아니다. 구미는 주력산업인 모바일, 디스플레이 경쟁력이 떨어지고 중국에 추월당하는 등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시장은 여당, 국회의원들은 야당이어서 구미 발전 동력도 결집되지 않고 있다.

최근 장 시장은 매일신문 인터뷰에서 "역사를 어떻게 지울 수 있겠나. 만약 박정희 대통령이라면 지금 시민들을 위해 무엇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할까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했다. 여기에 해법이 나와 있다. 과거에 얽매여 벌어지는 논란은 접어두고 구미 미래를 위해 장 시장과 구미시는 힘차게 달려가야 한다. 국회의원들도 적극 협력하는 것은 물론이다. 구미 발전을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