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전략 프로젝트인 대구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실증사업이 본격화된다. 대구시는 올해 안에 과제별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연구개발 과제 추진에 나선다. 이를 통해 교통과 안전, 행정 분야 등의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올해 사업자 선정 마무리
27일 대구시에 따르면 스마트시티 실증사업의 세부과제 6개 중 4개에 대한 사업자 선정을 끝낸 상황이다. 이번 사업은 교통, 안전, 행정'허브, 지자체 제안 등 4대 분야에 61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2년 12월까지 진행한다.
과제별로 보면 ▷'스마트 모빌리티 활성화'는 계명대와 DGB유페이 등이 참여한 한국교통연구원 컨소시엄 ▷'안전분야 과제'는 경북대와 경일대 등이 함께한 LH컨소시엄 ▷'개방형 데이터 허브센터 및 스마트시티 운영 모델 구축'은 지역 기업인 ㈜우경정보기술이 참여한 SKT컨소시엄 ▷'지자체 제안 과제'는 대구TP컨소시엄 등이 각각 맡았다.
이외에 '주차공간 공유기반 이용 효율'과 '5D 기반 도시 시설물 관리 및 소셜 크라우드 소싱' 등 2개 과제는 올해 말까지 사업자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부터 과제별로 예산을 투입해 실증과제 사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도시의 교통과 안전 문제 해법 찾기
이번 실증사업의 핵심은 교통(2개 과제)과 안전(1개 과제)이다. 특히 실생활과 밀접한 교통 분야는 대중교통수송분담률을 2014년 21.9%에서 2023년 32.4%까지 높이고, 주정차 단속도 2016년 55만건에서 2023년 49만건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준도심지역을 대상으로 실시간 환승 정보와 최적 경로 안내를 제공해 대중교통 환승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교통 수요 경로와 운행 스케줄 등을 분석한 통합 데이터를 구축한다. 또 대구 내 88개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혼잡 지역 주차난을 해소하려 한다.
안전 분야는 수재해 피해액을 지난해 6억1천만원에서 2023년까지 4억9천만원으로 줄이고, 긴급출동 골든아워(5분) 확보율을 2015년 29.3%에서 2023년 90%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를 달성하고자 급경사지 204곳과 빗물펌프장 20곳에 조기 대응 센서를 설치해 재난이 발생하기 전에 경보정보를 전파한다. 대형 화재 취약시설 307곳에도 화재감지기를 설치한다.
◆시설물 통합 관리와 시민 참여 확대
행정'허브(2개 과제) 분야에는 개방형 데이터 허브 센터와 스마트시티 운영 모델 구축이 있다. 또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지역의 주요 공공시설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대구 곳곳에 있는 교량(9곳)과 터널(6곳), 도시철도역사와 지하도상가 등 건축물(30곳) 등 모두 67곳을 관리 대상으로 한다. 시간 흐름에 따라 이들 시설의 데이터 변화를 시각화하는 방법이 도입된다.
무엇보다 시민 참여를 활성화한다. 현재 운영 중인 온라인 민원 창구인 '두드리소'를 연계한 시민 참여 플랫폼을 만든다. 또 수성의료지구(수성알파시티)를 중심으로 도시 전체를 국가 데이터 허브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지자체 제안 과제에는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과 교통이 유발하는 환경문제 해결이 있다. 달구벌대로 실시간 교통량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호 등 차량 흐름을 제어한다. 더불어 도로중심의 데이터와 예측모형을 만들어 미세먼지와 교통소음 줄이기에 나선다.
시는 이번 사업 과제들을 관리하면서 시민 참여를 활성화하고, 과제 간의 연계지원을 위해 지난달 스마트시티지원센터를 개소했다. 또 온'오프라인 통합 시민 참여'협업 모델을 마련하고자 '디지털시민청'과 '시민아카데미'를 운영한다.
센터장을 맡은 김현덕 경북대 교수는 "스마트시티의 핵심은 기술'데이터의 활용과 시민의 참여'동의"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현재 전 세계의 스마트시티 경향은 교통과 안전에 집중돼 있다. 도시마다 관련한 기술을 접목해 문제를 해결한다"며 "이에 따라 대구도 교통과 안전에 집중해 관련 기술을 개발'접목할 예정이다. 특히 데이터를 수집'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술과 데이터가 있더라도 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시민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