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성서열병합발전소 25일까지 인가 못받으면 매출 급락

건립 반대에 자유한국당도 합세 …'첩첩산중'

지역 사회의 강한 반대에 부딪힌 '성서 바이오SRF 열병합발전소'(이하 성서열병합발전소)가 이달 말까지 정부 인가를 받지 못하면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력판매에 따른 정부 혜택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민사회단체와 인근 주민의 반발에 정치권까지 가세해 사실상 인가 시한을 지키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오는 25일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가 발전원의 친환경성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적용된다.

REC 가중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가 전력을 사고 팔 때 발전소가 얼마나 환경친화적이냐에 따라 매매 가치를 인정하는 비율을 말한다. 성서 열병합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되는 고형연료 탓에 유해성 논란에 휩싸인 바이오SRF는 REC 가중치가 1.5에서 0.5로 떨어진다. 전력 발전에 따른 매출이 3배나 차이나는 셈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을 감안하면 성서 열병합발전소가 제때에 인가를 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최근 대구시와 달서구청은 열병합발전소 사업자인 리클린대구와 산자부에 건립 여부를 두고 주민 반대가 극심하다는 여론을 전달했다.

달서구청은 또 리클린대구가 바이오SRF 연료 중 최고 등급인 '원목 상태의 깨끗한 목재'를 전면 사용할 때만 고형연료 사용 허가를 내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성서열병합발전소는 대구시의 용도변경 허가와 달서구청의 건축 허가는 통과했고, 산업통상자원부의 공사계획 인가와 환경부의 통합환경허가를 앞두고 있다.

다급해진 리클린대구는 오는 10일쯤 시와 구청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연료 사용 계획과 발전소의 무해성 등을 설명할 계획이다.

달서구청 관계자는 "건강 악화를 우려하는 주민 반발이 거센만큼 사업계획을 확인한 뒤 건립허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30일 자유한국당 김인호 달서구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열병합발전소 건설 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주민 입장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라"고 요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대구시·달서구 의원들도 "시와 구는 책임 미루기를 그만하고 중앙정부 차원에서 행정감사를 받을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