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보다 3배 빠른 속도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의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1천637만원으로 1년 전보다 8.1% 늘었다.
부채 보유 가구의 지난해 처분가능소득은 5천271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2.7% 증가했다.
산술적으로 보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이 처분가능소득의 3배에 달하는 셈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은 31.1%로, 1년 전(29.5%)보다 0.6%포인트(p) 상승했다.
부채 보유 가구의 경우 세금, 사회보험료 등을 제외하고 실제 쓸 수 있는 돈의 ⅓을 대출 상환에 붓는 셈이다.
정부의 대출 총량 잡기 정책에 힘입어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난해부터 둔화하기 시작했지만 가계의 빚 부담은 가중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가계의 빚 부담은 통계 작성 이래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2011년 부채 보유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연간 887만원으로, 1천만원이 채 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2∼2015년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가계의 빚 부담이 불어났다.
2016년에는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1.25%로 떨어지며 원리금 상환액이 전년 대비로 줄었으나 감소세는 오래가지 못했다.
2011∼2017년 6년 사이 부채 보유 가구의 원리금 상환액은 84.6% 급증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1년 4분기와 지난해 4분기 사이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12.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최근 6년 사이 가계의 빚 부담이 소득보다 6.8배 빠르게 불어난 셈이다.
기준금리가 지난달 1년 만에 인상돼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도 덩달아 커질 공산이 있기 때문에 향후 전망이 더 어둡다.
가계부채 증가세는 점차 잡히고 있지만 이미 가계가 받아놓은 대출이 많아 빚 부담은 가계부채 증가만큼 둔화하지 않을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