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셀프 징계' 예천군의회, 적당히 얼버무리고 넘어갈 때인가

예천군의회가 1일 본회의를 열어 해외연수 과정에서 가이드 폭행 등 물의를 일으킨 박종철·권도식 의원을 제명했다. 또 불미스러운 사태를 방조해 문제를 키운 이형식 의장에게는 30일 이내 출석 정지 징계를 확정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과 사회단체들은 '전형적인 꼬리 자르기 꼼수'라며 군의회에 대한 깊은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런 군의회의 결정은 '전원 사퇴'를 강하게 요구하는 지역 여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의원 9명 모두가 이번 사태를 통렬히 반성하고 연대책임 의식을 가져야 함에도 사태 수습을 핑계로 '셀프 징계' 등 적당한 선에서 얼버무리려는 의도가 내비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책임 회피에 급급한 의원들을 어느 누가 지역 대표로 신뢰하고 인정할 것인지는 물어보나 마나다.

이번 사태는 의회가 국민 혈세를 낭비한 것도 모자라 상상 밖의 추태를 벌이면서 예천의 이미지와 지방의회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점에서 의원 모두가 퇴진하는 것이 도리다. 하지만 제 발로 의회를 떠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는 점에서 의원들 속셈이 무엇인지는 자명하다. 사실상 적당히 면죄부를 주고 위기를 넘겨보겠다는 의도다. 아무리 백번을 무릎 꿇고 머리 조아려 사죄해도 이런 마음가짐으로는 무너진 신뢰를 결코 돌이킬 수도 없다.

예천군 농민회 등 사회단체가 4일 30일여간 이어진 의장실 점거 농성을 풀면서 '군의원 전원 사퇴' 운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힌 것도 지역사회 여론이 어떤지를 말해준다. 군의회가 지금이라도 철저한 자기반성과 함께 신뢰 회복을 위한 실제적인 조치를 내놓지 않고 구차하게 자리에 연연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이는 전 국민 앞에 예천 주민이 두 번 다시 얼굴을 못 들게 만드는 일이다. 군의원들의 몰염치가 이미 실추된 예천 이미지를 더 크게 떨어뜨리는 일임을 깊이 상기하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