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우리 아기는 언제 눈을 맞추나요?
처음 출생 직후에는 단순하고 대비가 큰 물체(머리나 몸체 형태)만 주시하다가 조금씩 자세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됩니다. 생후 3개월 정도부터는 눈앞에 사물을 따라보는 것이 어느정도 가능하게 되나, 경우에 따라 조금 늦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 출생 후 5-6개월까지 눈의 초점이 이상하거나 완전한 주시를 못한다면 소아안과 진료를 보는 것을 권유합니다.
2. 언제쯤이면 검진을 할 수 있을 까요?
특별한 이상이 보이지 않는경우라면만1세 경에 한번 진료를 보는 것이 좋으며 만4세 전에는 반드시 안과 검진으을 한번 하는 것이 좋습니다.굴절이상으로 인한 시력이상이나 사시 유무를 관찰하기 위해서 꼭 영유아 안과 검진이 필요하며 초점을 못 맞추거나 아니며 햇빛을 유난히 싫어하는 경우,눈을 많이 비비는 경우,무언가 볼 때 너무 가까이 가거나 많이 찌푸려 보는 경우에는꼭 일찍 검진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눈이 나빠 안경을 끼라고 처방을 받았습니다. 안경을 꼭 써야 하나요?
근시, 원시, 난시등의 굴절이상으로 의미 있는 시력저하가 있다면 꼭 안경을 써야 합니다. 특히, 시력발달이 이루어지는 만 8세에서 10세 까지는 민감한 시기라 시력발달을 위해서는 반드시 착용하여야 합니다. 그 외 안경 착용 여부는 동반되어 있는 안과질환에 따라서 안과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결정해야 하며 안경은 하루 종일 착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4.. 눈이 더 이상 나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은 없나요?
현재까지 근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없습니다. 단,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당한 독서거리, 조명등의 주위환경의 개선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은 것은 좋지 않고, 누워서 또는 엎드려서 책을 보거나 흔들리는 차안에서 책을 보는 것, 지나치게 가까이에서 보는 것도 눈의 피로를 유발합니다. 책은 눈에서 약 30cm정도 떨어져서 보고 30분 정도의 독서 후 약 5-10분 정도의 휴식(멀리 보는 것, 적어도 3미터이상의 거리)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조명은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위에서 비추는 것이 좋으며, 적당한 운동, 휴식 및 영양을 섭취하여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컴퓨터나 tv를 오랜 시간 보는 경우, 눈의 피로나 건조감 및 희미한 시력 등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중간에 휴식을 취하며 적절한 시간만 컴퓨터를 하거나 TV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TV를 시청할 때 불을 끈 상태에서 하는 것은 좋지 않은 습관이므로 꼭 적당한 불을 켠 상태에서 하도록 합니다. 눈을 휴식하는 방법으로는 지긋이 눈을 감고 있거나, 먼 곳 (창밖의 건물이나 풍경)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5.. 눈에 좋은 영양제나 음식은 무엇이 있나요?
녹황색 채소와 과일은 잘 알려진 것처럼 눈 건강에 좋습니다. 녹황색채소에는 눈에 필요한 카로티노이드등의 항산화물질, 비타민, 무기질등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만 무엇보다도 고른 영양섭취가 중요하며 충분한 수면과 적당한 눈 휴식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도움말: 대구 잘보는안과 이정호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