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외 위구르족들, 中정부에 "수용소 구금자 영상 공개하라"

위구르족 공동체 중심으로 SNS 통해 '#미투위구르' 캠페인
'헤이트 사망설' 차단 위한 中의 동영상 공개가 캠페인 촉발

중국 신장(新疆) 위구르(웨이우얼) 자치구 내 위구르족 탄압에 대해 국제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해외 위구르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실종된' 위구르족의 생존 입증에 필요한 동영상을 공개할 것을 중국 정부에 촉구하는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2일(현지시간) 해외 거주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중국의 '재교육 수용소'에 구금된 것으로 알려진 친지들의 실물 영상 공개를 중국 정부에 요구하는 캠페인이 펼쳐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위구르족들은 소셜미디어(SNS)에 '#미투위구르'(#MeTooUyghur)라는 해시태그를 달고 실종된 가족·친지들의 이름과 사진이 담긴 글들을 올리고 있다.

이 캠페인은 중국 관영 매체가 2017년 실종된 위구르족 음악가 겸 시인 압둘라힘 헤이트의 사망설을 반박하기 위해 최근 그의 '생존 동영상'을 공개한 직후 시작됐다. 앞서 터키 외교부는 지난 9일 헤이트가 재교육 수용소에 구금됐다가 숨졌다면서 중국 정부에 대해 위구르족에 대한 탄압 중단과 수용소 폐쇄를 요구했다.

헤이트로 추정되는 등장 인물은 26초 분량의 영상에서 자신이 재교육 수용소에 수감돼 있으며, 건강한 상태이며, 학대를 받지도 않았다고 주장한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지난 11일 터키 정부의 비판이 '터무니없는 거짓말'이라면서 헤이트는 국가 안보를 위협한 혐의에 대해 조사를 받고 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동영상 공개는 오히려 다른 '실종된' 위구르족들의 실물 영상 공개 요구 캠페인의 기폭제가 됐다. 핀란드에 거주하는 위구르족 활동가 무라트 하리 씨는 "중국 당국은 헤이트가 여전히 살아 있다는 증거로 영상을 보여주었다"면서 "이제 우리는 수백만 명의 위구르족들이 어디에 있는지 알기를 원한다"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해외 거주 위구르족들은 재교육 수용소에 구금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족과 친지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위구르족을 비롯해 이슬람교를 믿고 있는 소수민족은 해외, 특히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국가에 거주하는 친지들과 소통하는 것을 엄격하게 제한받고 있다.

중국 당국은 신장위구르자치구 내 위구르족과 카자크족 등 다른 소수민족 이슬람교도를 대상으로 재교육 수용소를 운영하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들과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 측은 약 100만 명에 달하는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민족 이슬람교도들이 재교육 수용소에서 재교육을 받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재교육 수용소에 대해 유엔과 인권단체들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지만, 중국 당국은 이 시설이 테러리즘과 극단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가 하면, "인도적 직업교육센터"라고 말하는 등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있다. 터키와 중국의 갈등이 깊어지자 중국정부는 터키 여행 주의보를 발령했다고 1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