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정은-트럼프 '핵 담판'…완전한 비핵화냐, 불완전한 평화냐

'미들 딜'이상의 성과 나올 가능성 있어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현지시간) 베트남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을 했던 두 정상이 얼굴을 다시 마주한 것은 260일 만이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현지시간) 베트남의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을 했던 두 정상이 얼굴을 다시 마주한 것은 260일 만이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친교 만찬을 시작으로 1박2일간의 '하노이 핵 담판'에 들어갔다. 두 정상은 27일에 이어 28일 오전부터 단독 회담과 확대 회담, 오찬을 연이어 가지며 이 과정에서 도출한 최종 합의를 토대로 '하노이 선언'에 대한 서명식을 진행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현지시간) 만찬에 앞서 2차 북미정상회담장인 하노이 회담장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현지시간) 만찬에 앞서 2차 북미정상회담장인 하노이 회담장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하노이 담판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앞날을 결정짓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두 정상은 북미 실무회담에서 근접한 협상안을 토대로 회담에 나서되 그 이상의 통 큰 결단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최종 회담 결과가 주목된다. 두 정상은 기존의 전통적 외교문법과는 다른 예측불허의 스타일로 '톱다운 담판'에 나서게 돼 70년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역사적 이정표를 세울지 전 세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 첫날인 27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국제미디어센터(IMC)에 차려진 백악관 프레스센터에서 취재진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만남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제2차 북미정상회담 첫날인 27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국제미디어센터(IMC)에 차려진 백악관 프레스센터에서 취재진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만남을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7일 오후 8시30분(현지시간 오후 6시30분)부터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일대일 단독회담을 30분가량 가진 뒤 양 측 2명씩의 배석자가 함께 참석하는 '3+3 친교 만찬'을 가졌다. 2시간가량 이어진 단독회담과 만찬에서 양 측은 호의적인 분위기 속에서 '친교'를 쌓으면서도 비핵화와 상응 조치에 대한 서로의 입장을 타진하는 등 '업무 만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다음날인 28일 본격적인 회담에 대비해 전략을 구상하고 다지는 자리로 활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하노이 담판에서 두 정상은 지난해 6·12 싱가포르 공동성명에 담긴 ▷북미간 새로운 관계 수립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완전한 비핵화 등의 항목을 실질적으로 진전시키는 결과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은 그 폭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점이다.

이와 관련, 영변 핵시설 동결 정도와 평화선언,연락사무소 개소 등 초기 단계 수준의 '스몰 딜', 영변 핵시설 외 핵시설에 대한 검증·폐기, 포괄적 핵신고·검증 관련 약속, 핵무기와 핵물질 폐기를 포함하는 '비핵화 개념 정의', 대북제재 완화 등의 난제들을 두루 풀어내는 '빅딜'이 될 것이라는 등 전망이 엇갈린다.

김 위원장의 행보가 북한 내부에 이례적으로 거의 실시간으로 보도되는 등 기대감을 높이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도 자신감을 보여와 이번 회담에 임하는 두 정상의 부담감도 적지않은만큼 적극적으로 회담에 임해 최소 '미들 딜' 이상의 성과가 나올 것이라는 분석도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