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친교 만찬을 시작으로 1박2일간의 '하노이 핵 담판'에 들어갔다. 두 정상은 27일에 이어 28일 오전부터 단독 회담과 확대 회담, 오찬을 연이어 가지며 이 과정에서 도출한 최종 합의를 토대로 '하노이 선언'에 대한 서명식을 진행한다.

이번 하노이 담판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앞날을 결정짓는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두 정상은 북미 실무회담에서 근접한 협상안을 토대로 회담에 나서되 그 이상의 통 큰 결단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최종 회담 결과가 주목된다. 두 정상은 기존의 전통적 외교문법과는 다른 예측불허의 스타일로 '톱다운 담판'에 나서게 돼 70년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역사적 이정표를 세울지 전 세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7일 오후 8시30분(현지시간 오후 6시30분)부터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호텔에서 일대일 단독회담을 30분가량 가진 뒤 양 측 2명씩의 배석자가 함께 참석하는 '3+3 친교 만찬'을 가졌다. 2시간가량 이어진 단독회담과 만찬에서 양 측은 호의적인 분위기 속에서 '친교'를 쌓으면서도 비핵화와 상응 조치에 대한 서로의 입장을 타진하는 등 '업무 만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다음날인 28일 본격적인 회담에 대비해 전략을 구상하고 다지는 자리로 활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하노이 담판에서 두 정상은 지난해 6·12 싱가포르 공동성명에 담긴 ▷북미간 새로운 관계 수립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완전한 비핵화 등의 항목을 실질적으로 진전시키는 결과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은 그 폭이 어느 정도인가 하는 점이다.
이와 관련, 영변 핵시설 동결 정도와 평화선언,연락사무소 개소 등 초기 단계 수준의 '스몰 딜', 영변 핵시설 외 핵시설에 대한 검증·폐기, 포괄적 핵신고·검증 관련 약속, 핵무기와 핵물질 폐기를 포함하는 '비핵화 개념 정의', 대북제재 완화 등의 난제들을 두루 풀어내는 '빅딜'이 될 것이라는 등 전망이 엇갈린다.
김 위원장의 행보가 북한 내부에 이례적으로 거의 실시간으로 보도되는 등 기대감을 높이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도 자신감을 보여와 이번 회담에 임하는 두 정상의 부담감도 적지않은만큼 적극적으로 회담에 임해 최소 '미들 딜' 이상의 성과가 나올 것이라는 분석도 눈여겨보아야 할 대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