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 예금은행의 4배로 격차 더 커져

고신용·고소득자가 찾는 예금은행의 금리가 낮아진 가운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이용자들은 오히려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 금리는 연 3.58%로 전달보다 0.03%포인트(p) 내렸다. 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석 달 연속 하락하며 2017년 10월(3.5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해 1월 연 3.12%로, 2016년 11월(3.04%)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해 5월(3.49%)보다 0.37%p 떨어졌다. 올 1월 신용대출금리도 4.57%로 전월보다 0.07%p 내렸다.

이는 3·5년 만기 은행채(AAA)가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고, 한은도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채권시장에서 장기채 금리가 내렸다.

이에 따라 장기 은행채를 지표로 삼는 5년 혼합형(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변동금리 대출보다 낮아지는 등 고정금리 대출로 쏠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1월 가계대출 고정금리 비중은 41.5%로 2017년 4월(43.1%) 이후 최고였다. 정부가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은행 심사를 통과할 수 있는 우량(고신용·고소득) 대출자는 금리 부담이 줄어들었다.

반면 상호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두 달간 상승해 1월에 연 14.73%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15.1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예금은행의 4.1배이다. 지난해 11월 3.9배에서 더 벌어졌다. 금리 차는 11.2%p로 지난해 8월(11.5%p) 이후 가장 커졌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도 19.27%로 지난해 9월(19.32%) 이후 가장 높았다.

문제는 저축은행 이용자들은 예금은행보다 저신용자가 많다는 점이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에서 저신용자(7∼10등급) 대출금 비중은 약 25% 수준이다. 중신용자(4∼6등급)는 65.3%, 고신용자는 10.0%였다. 이 때문에 금융소외 계층인 제2금융권 이용자의 이자 부담이 늘어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