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용·고소득자가 찾는 예금은행의 금리가 낮아진 가운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이용자들은 오히려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3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 금리는 연 3.58%로 전달보다 0.03%포인트(p) 내렸다. 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석 달 연속 하락하며 2017년 10월(3.5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해 1월 연 3.12%로, 2016년 11월(3.04%)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해 5월(3.49%)보다 0.37%p 떨어졌다. 올 1월 신용대출금리도 4.57%로 전월보다 0.07%p 내렸다.
이는 3·5년 만기 은행채(AAA)가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시사하고, 한은도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채권시장에서 장기채 금리가 내렸다.
이에 따라 장기 은행채를 지표로 삼는 5년 혼합형(5년 고정금리 후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변동금리 대출보다 낮아지는 등 고정금리 대출로 쏠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1월 가계대출 고정금리 비중은 41.5%로 2017년 4월(43.1%) 이후 최고였다. 정부가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은행 심사를 통과할 수 있는 우량(고신용·고소득) 대출자는 금리 부담이 줄어들었다.
반면 상호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두 달간 상승해 1월에 연 14.73%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15.1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예금은행의 4.1배이다. 지난해 11월 3.9배에서 더 벌어졌다. 금리 차는 11.2%p로 지난해 8월(11.5%p) 이후 가장 커졌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도 19.27%로 지난해 9월(19.32%) 이후 가장 높았다.
문제는 저축은행 이용자들은 예금은행보다 저신용자가 많다는 점이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에서 저신용자(7∼10등급) 대출금 비중은 약 25% 수준이다. 중신용자(4∼6등급)는 65.3%, 고신용자는 10.0%였다. 이 때문에 금융소외 계층인 제2금융권 이용자의 이자 부담이 늘어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