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시내버스 혼잡구간 내달 20일부터 '다람쥐' 운행

16개 노선 일부 조정 8개 노선 신·증설… "사각지대 줄인다"
오전 7~9시 401번, 814번, 급행7번 혼잡 노선에만 순환버스 운행

다음달 20일부터 대구 시내버스 16개 노선이 일부 조정되고, 8개 노선이 새로 생기거나 증편된다. 출퇴근 시간대 급증하는 수요를 감당하고자 노선 일부만 순환 운행하는 일명
다음달 20일부터 대구 시내버스 16개 노선이 일부 조정되고, 8개 노선이 새로 생기거나 증편된다. 출퇴근 시간대 급증하는 수요를 감당하고자 노선 일부만 순환 운행하는 일명 '다람쥐 버스'도 새로 생긴다. 매일신문DB

다음달 20일부터 대구 시내버스 16개 노선이 일부 조정되고, 8개 노선이 새로 생기거나 증편된다. 출퇴근 시간대 급증하는 수요를 감당하고자 노선 일부만 순환 운행하는 일명 '다람쥐 버스'도 새로 생긴다.

먼저 신서혁신도시와 사수동(금호지구), 테크노폴리스, 세천지구 등 신도시 지역의 인구 유입이 늘면서 폭증한 대중교통 이용 수요에 맞춰 이들 지역을 경유하는 노선을 늘린다.

북구 금호지구에는 급행7번 노선이 아파트단지를 경유하도록 바뀌고, 북구4번 노선에는 운행 차량을 1대 추가해 배차간격을 12분대까지 줄인다. 동구 신서혁신도시에는 공동주택이 가장 많은 제1주거지역과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을 잇는 동구7번 노선을 신설, 환승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달성군 테크노폴리스는 달성8(-1)번을 폐지하는 대신 655번 노선이 테크노폴리스 내부를 경유하도록 조정한다. 급행4번 노선은 다른 노선과 중복되는 구간을 없애고, 운행 차량을 1대 늘리는 한편 노선도 주거지구를 좀 더 자주 경유하도록 바꾼다. 또 세천지구에 들어가는 달서1번 노선은 대실역까지 연장하고 죽곡지구에서 성서 방향 425번 노선도 세천지구를 경유하도록 바뀐다.

대중교통 혜택에서 소외됐던 사각 지역에도 시내버스가 투입된다.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에는 달성1번 노선이 경유하도록 조정됐고, 동구 봉무동 위남마을에도 401번 노선이 투입된다. 다만 위남마을의 경우 도로 여건 상 시내방향 운행 시에만 경유한다.

경북고등학교 인근에서 회차하던 234번과 425번 노선은 운행 구간을 황금고가교 하단까지 늘려 환승 편의성을 더했고, 구지면 국가산업단지 인근 도로 신설에 따라 600번과 달성3번, 달성7번 노선의 운행경로도 일부 바뀐다.

또 시내버스들의 잦은 회차로 소음과 분진 민원이 잦았던 구암동·학정동 회차지 9개 노선을 동호동·관음동 차고지를 쓰도록 조정한다. 급행7번, 726번, 칠곡1(-1)번, 칠곡4번, 칠곡2번, 706번, 939번 노선이 대상이며, 특히 칠곡2번이 회차지를 바꾸면서 생긴 그린빌2차~도남동 구간 공백은 신설되는 칠곡5번 노선이 메울 예정이다.

22일부터는 출퇴근시간 혼잡이 심각한 3개 노선(401번, 814번, 급행7번)에 예비차를 투입, 주요 혼잡 구간만 순환 운행하는 순환버스도 운행한다. 평일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두산오거리~범어네거리~동대구역(8140번), 이시아폴리스~대구국제공항~아양교역(4010번), 칠곡~사수동~성서산단(7250번) 노선에 투입되며, 하루 4~9차례 운행한다.

달라진 노선은 대구시 시내버스 안내 홈페이지(businfo.daegu.go.kr)와 120달구벌콜센터, 대구시 버스운영과(053-803-4851~3)로 문의하면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