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르 제리코, 메두사호의 뗏목, 491 x 716cm, 캔버스 위 유화, 1819, 루브르박물관 소장
프랑스 낭만주의 화풍을 확립한 테오도르 제리코(1791~1824)의 역작 '메두사호의 뗏목'은 1816년 7월 2일, 대서양에서 발생한 범선 메두사호의 재난으로부터 탄생했다. 이 기념비적인 작품은 급조한 뗏목을 타고 망망대해를 표류하던 사람들이 저 멀리 해안선에서 희미하게 보이는 구조선을 발견하고 흥분한 순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늘에는 태풍이 몰아칠 듯 먹구름이 가득하고 거대한 파도는 금방이라도 뗏목을 집어삼킬 것 같다. 좌측 돛대를 지탱하는 양쪽 밧줄, 그 하단의 널브러진 인체들, 구조선을 향해 손을 뻗치고 있는 우측의 군상, 이렇게 그림은 세 개의 피라미드 구조를 이룬다. 강렬한 명암대비로 생사의 기로에 놓인 극한상황을 생생하게 포착한 화면 맨 앞, 구조선을 향해 죽을 힘을 다해 옷을 흔드는 흑인의 몸짓에서 극적인 감정이 정점을 이룬다.
메두사호는 서유럽 국가들이 아프리카 식민지화에 경쟁하던 시기에 행정공무원들과 군인들 등 400여 명과 기자재들을 세네갈로 운송했다. 승선 인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구조선, 부정 인선과 같은 지도층의 도덕적 해이로 유발되는 인재는 예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메두사호에 얽힌 부패상은 다음 주에 5주기를 맞이하는 세월호 사건에 오버랩 된다. 드 쇼마레 자작은 무려 20년간 항해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금품을 주고 결탁한 고위관리 덕에 메두사호 선장 자리를 꿰찬다. 선박이 부딪친 사주(沙洲)는 항로를 잘 아는 뱃사람들에겐 익히 알려진 장애물이었다. 무능하고 책임감이 없던 선장은 사고가 나자 맨 먼저 정부요원들과 함께 배에 구비된 구조선에 올라 도망친다.
그들이 도망치면서 던져준 몇 통의 비스킷과 물병으로는 선원들과 승객들이 적도의 태양 아래서 구조되기까지의 13일을 버틸 수 없었다. 아르고스호가 뗏목을 발견했을 때 뗏목에 탔던 150명 중 생존자는 15명에 불과했다. '메두사호의 뗏목'에서 죽은 아들을 한쪽 팔로 보듬고 있는 노인의 망연자실한 표정이 아비규환의 현장을 대변하고 있다. 기아와 극도의 불안감으로 광란이 난무했고 질병으로 죽거나 바닷물 속으로 던져진 사람들도 부지기수였다. 생존자 중 일부는 동료의 시체나 산 사람을 먹는 무시무시한 식인풍속(cannibalism)도 자행했다.
나폴레옹 실각 후 등극한 루이 18세와 정부가 은폐하려던 이 사건은 뗏목에서 생환한 선박의 보조 외과의사 H. 사비니와 측량기사 A. 코레아르의 증언을 언론에서 대서특필하면서 밝혀져 전 유럽인의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제리코는 동시대의 비극적인 참사를 영웅적이고 위대한 작품으로 승화하기 위해 치밀한 준비과정을 거쳤다. 두 증인의 고증을 거쳐 실제 뗏목의 모형을 제작해 작업실에 두고 수많은 에스키스(esquisse:작품을 구상하기 위해서 그리는 여러 가지 초안이나 밑그림)를 했을 뿐만 아니라 시체공시소에서 버려진 신체 조각들을 가져와 해부학 연구와 동시에 시체의 피부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는 데 이용했다. 제리코는 비장한 각오로 머리를 밀고 은둔자처럼 작업실에서만 지내며 무려 1년 반을 꼬박 이 작품에만 매진했다. 부유한 집안 출신의 제리코도 이 초대형 작품 제작 이후 재정난에 맞닥트리게 된다.
메두사호 사건이 언급되는 걸 싫어한 정부 때문에 이 작품은 '난파의 장면'이란 제목으로 1819년 '살롱전'에 출품되었다. 집중적인 스포트라이트와 함께 당시 27세 제리코는 단박에 명성을 얻었지만, 작품에 대한 평가는 양분되었다. 표류하는 인류의 대서사로 열렬히 환호하는 사람들은 세 흑인을 영웅적으로 묘사한 점을 프랑스 식민주의와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입장으로도 봤다. 반면, 보수주의자들은 전통적으로 역사화에 사용된 대형 캠퍼스에 비영웅들의 당대 사건을 미화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런던에서의 전시는 대성황을 이뤄 무려 4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줄을 이었고 관람료의 일부는 작가에게 돌아갔다.
제리코는 질주하거나 솟구치는 말의 역동성을 절묘하게 표현해내는 화가로 유명했고 실제로 그는 열정적으로 승마를 즐겼다. 33세에 낙마 후유증으로 요절한 화가의 삶은 극적이었다. 잔인한 운명의 장난인지 그는 외삼촌보다 28세 연하인 외숙모 알렉상드린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 죄의식으로 고통을 받으면서도 그들의 관계는 지속되었으며 호적에 올리지 못한 아들 조르주-이폴리트도 낳았다. 후일 아들은 조각가에게 제리코의 묘소에 '메두사호의 뗏목'을 저부조로 새기게 함으로써 위대한 화가의 업적을 영구히 남기게 했다.
박소영(전시기획자, PK Art & Media 대표)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