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형 일자리 모델 탄생할까?

경북도 정부 규제자유특구 선정 위한 후속 절차에 속도
최종 선정 시 이차전지 분야 기업 중심의 '포항형 일자리 모델'로 이어질 전망

경북도의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산업(포항)' 규제자유특구 계획이 정부 선정 1차 사업 대상(34곳 중 1차로 10곳 선정)에 포함(매일신문 4월 18일 자 19면)되면서 '포항형 일자리 모델'의 탄생으로 이어질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북도·포항시가 구상 중인 '포항형 일자리 모델'은 ▷지자체 부지 제공 ▷대학·R&D 연구소 전문인력·기술 제공 ▷기업 조기 투자 ▷정부 규제 혁신 등 주체 간 상생협력으로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지역 내 에코프로GEM, 포스코케미칼, 성일하이텍, 단석산업 등이 특구사업자로 참여할 계획이며 이들 기업이 1조원 이상 투자하면 2023년까지 1천여 명의 고용 창출이 예상된다.

지난 2월 정부는 노·사·민·정 등 지역 경제 주체가 상생협약을 통해 적정 근로조건, 생산성 향상, 인프라·복지 협력 등에 힘을 모으며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중 일부를 선정, 지역·산업·기업별 특성에 따라 보조금 지원·산업단지 임대료 인하 등 '패키지 지원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는 포항형 일자리 모델이 정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에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선정을 위한 첫 단추가 포항 배터리 기업 집적단지의 규제자유특구 선정이다. 특구로 선정되면 관련 규정이 없어 추진이 어려웠던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 분야의 친환경·안전처리기술 실증 기회가 열려 산업화 기반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도는 특구 최종 선정을 위해 관련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2일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자유특구 계획을 공고한 뒤 한 달 간의 주민·전문가 등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내달 7일 포항시청에서 주민공청회를 열어 주민 얘기를 직접 들어보는 등의 수렴 절차가 마무리되면 다음 달 24일쯤 정부에 특구지정 신청을 할 예정이다.

특구 선정에 대한 기대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 환경부와 산업부가 친환경차 배터리 재활용 산업화를 위한 TF를 꾸려 대응 중인데, 경북도가 맞춤형 전략을 짜 제시한 셈이기 때문이다.

특구가 지정되면 경주 양성자가속기 기반 R&D 환경-생산기업-리사이클 특구가 유기적으로 맞물려 경북도의 '차세대 배터리 파크 조성' 계획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포항지진 이후 철강경기 침체로 산업 다각화가 필요한 포항경제에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이차전지 산업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정부 규제자유특구위원회는 오는 7월 말 특구를 최종 지정할 계획으로 몇 곳이나 지정할 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