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한전 '울릉 에너지 자립섬' 청산…'대구청정에너지' 사업도 재검토

곽대훈 "탈원전 정책 불똥 TK에 튀어

한국전력공사 기획본부 기획처가 지난 3월 작성한
한국전력공사 기획본부 기획처가 지난 3월 작성한 '2019 재무개선 계획'. 곽대훈 의원실 제공

한국전력공사가 올해 재무개선 방안으로 '대구청정에너지'와 '울릉 에너지 자립섬' 사업을 청산 또는 중단하기로해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한전 수익이 악화한 불똥이 대구경북(TK)에 튀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곽대훈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대구 달서갑)이 최근 한전으로부터 받은 '2019년 재무개선 계획'에 따르면 올해 한전은 9억원, 발전 자회사 1조1억원 등 2조원 이상 재무개선을 위해 458억원 가량 사업규모를 조정하고 515억원 상당 부대사업을 축소한다. 세부계획에는 TK 관련 사업인 ▷울릉도 친환경 자립섬 SPC 청산 ▷대구청정에너지 사업성 재검토 등이 포함됐다.

사실 두 사업 모두 이미 내·외부 상황으로 '암초'를 만났으나 한전이 이 같은 방침을 세우면서 사업 백지화에 방점이 찍히게 됐다.

한전은 LG CNS, 화성산업, 대성에너지 등 4개 사와 2017년 2월 자본금 5억원을 공동 출자해 SPC인 한전대구청정에너지㈜를 설립했으나 사업이 여의치 않게 됐다.

한전은 대구 달성군 테크노폴리스 60㎿급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지어서 직접 생산한 전력과 열을 전력거래소 및 주변 기업에 판매하려 했다.

하지만 핵심 기술을 납품하는 포스코에너지의 단가 인상 요구에 막혀 난항에 부딪혔고, 연료전지 발전시설은 준공 예정 시기를 앞두고도 발전시설 조성은커녕 부지 매입조차 끝내지 못했다.

또 경북도는 2026년까지 울릉도에 2천685억원을 들여 디젤 발전을 중단하고 태양광·풍력·수력·지열 등을 사용하는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 사업을 추진했다.

경북도는 울릉군·한전·LG CNS·도화엔지니어링과 함께 특수목적법인(SPC)인 ㈜울릉도친환경에너지자립섬을 설립, 사업에 나섰으나 사업청산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 사업은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의해 촉발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옴에 따라 '에너지 자립섬의 핵심인 지열발전 논란으로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사업 중단 의사를 밝혔다. 도는 지난 1월에는 SPC 이사회에 향후 추진 방향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중단 입장을 공식적으로 전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전이 재무 악화를 개선하고자 사업에서 발을 빼거나 새롭게 검토하기로 하면서 두 사업은 무위로 돌아갈 판이다. 이미 울릉 사업은 현재 한전 외 다른 참여 기관도 경북도 방침에 동의했으며, 한전이 '청산' 결행만 하면 SPC 주주총회를 열고 최종 사업 정리에 들어간다.

곽대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우량기업이었던 한전이 부실기업으로 전락했고, 그 불똥이 TK 사업에도 튀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장할 때는 언제고 이제 와서 적자가 늘어나니 사업을 재검토하겠다는 것은 대구경북 시도민을 기망하는 것이다"고 비판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도 "안 될 사업을 철수하겠다는데 마냥 비난할 수 없지만, 여러 제반 사항을 살피지도 못한 채 대량 투자하겠다며 시도민에게 헛된 희망만 안겨준 점은 책임 있는 공기업의 자세는 아니다"고 지적했다.

한편, 2016년 7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낸 한전은 탈원전 정책으로 지난해 1조1천745억원 순손실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6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