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이 내 집을 처음 마련하는 데는 평균 7.1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 지난해 6∼12월 표본 6만1천275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생애 최초 주택' 마련에 걸리는 시간은 7.1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8년, 2016년 6.7년보다 0.2∼0.3년 늘었다.
자가(自家)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는 전국 단위에서 5.5배(중앙값)로, 2017년 5.6배보다 다소 낮아졌다. 한 가구가 1년 소득을 모두 저축한다고 가정해도 5.5년은 모아야 자기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집을 빌린 임차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 RIR(Rent Income Ratio)는 전국에서 1년 새 17%에서 15.5%(중앙값)로 떨어졌다.
자기 집을 가진 가구의 비율(자가 보유율)은 61.1%로 전년과 같았다.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의 비율(자가 점유율)도 2017년과 다름없이 57.7%였다.
전체 가구의 평균 거주 기간은 7.7년으로 2017년(8년)보다 줄었고, 현재 집에서 산 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의 비율(주거이동률)은 36.4%로 집계됐다. 수도권(40.6%)의 주거이동률이 광역시 등(35.5%), 도 지역(30.6%)보다 높았다.
전체 가구의 5.7%(111만 가구)는 '최저 주거 기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다만 이 비율은 전년(5.9%, 114만 가구)과 비교하면 다소 낮아졌다.
주택 보유 의식 관련 문항에서는 82.5%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2017년(82.8%)보다 다소 낮지만 2014년 79.1%와 비교하면 4년 새 3.4%P 높아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