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민생투쟁 대장정'이 26일 종료를 앞두면서 공석인 대구의 일부 당협에 대한 위원장 선임이 이뤄질지 지역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남, 동갑, 북을 등 한국당 대구 당협 3곳은 수개월째 위원장이 공석이다. 이 중 동갑은 지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당시 공모를 통해 류성걸 전 의원을 당협위원장 전 단계인 조직위원장에 선임했으나 대구시당이 류 전 의원의 입당을 불허하면서 임명이 무산됐고 류 전 의원이 중앙당에 이의를 제기한 상태다.
대구시당은 총선이 가까워지자 당협의 효율적 관리, 외연 확대 등을 위해 서둘러 위원장이 공석인 당협의 위원장을 선임해줄 것을 당에 건의했으나 아직 뚜렷한 답을 듣지 못하고 있다.

곽대훈 대구시당 위원장은 20일 "시당 위원장 자격으로 다음 달 말(6월)까지 공석 지역구 당협위원장 선임을 끝내야 한다고 당 지도부에 주문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보궐선거-패스트트랙 정국-민생투쟁대장정 등으로 조직 정비가 '올스톱' 됐다. 황 대표의 민생대장정이 끝나면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했다.
공석인 당협의 위원장에 누가 선임될지는 지역 정가의 큰 관심사다.
황 대표 체제의 인재 등용 방향을 엿볼 수 있는 단초가 돼 공천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사실상 황 대표의 첫 조직 정비로, 앞으로 이뤄질 공천 방향을 읽을 수 있고, 총선이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선택받은 자는 '공천'의 유리한 고지를 점령했다는 인식도 확산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런 이유로 오히려 당협위원장 선임 문제가 본격적인 '공천' 국면으로 접어들 때까지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당협위원장 '특혜 시비'가 일 수 있고 짧은 기간 내 공천 등으로 또다시 당협위원장 교체가 이뤄질 경우 당원들의 동요에다 탈락자의 반발 등 파열음이 커질 수 있어서다.
위원장 공석 당협은 전국적으로 24곳에 이른다.
한국당 관계자는 "총선을 대비해 지방조직 정비와 강화는 필요한 부분이나 황 대표 취임 후 모인 결속 분위기가 위원장 선임 문제 등으로 당 내외의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만큼 신중한 판단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