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01}]
올해 들어 대구 고용 상황이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일자리는 늘었지만 고용 비중이 큰 30, 40대 취업자가 줄었다. 또 단시간 근로자가 증가한 가운데 단순 노무와 판매 등 숙련도 낮은 직업 종사자들의 고용이 취약해졌다.
22일 통계청의 1~4월 경제활동인구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구에서 고용 비중(올해 4월 기준 43%)이 큰 30, 40대 취업자 수 감소 폭이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 말 대비 4월 취업자 증감률을 보면 30~39세와 40~49세가 각각 -6.1%, -2.7%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증감률 -5.1%, -1.1%보다 감소 폭이 커진 것이다. 같은 기간 20~29세의 경우 5.1%에서 7.2%로 증가 폭이 확대돼 고용이 개선된 것과 상반된다.
문제는 계약직이나 임시직 등 단시간 취업자가 증가했다는 점이다. 올해 4월 대구의 주당 1~17시간 취업자는 7만5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6만9천명보다 8.7% 늘었다. 최근 흐름을 보면 지난해 12월 5만6천명이던 1~17시간 취업자는 올해 1월 6만4천명, 2월 7만명, 3월 7만4천명으로 계속 늘었다. 4월의 주당 18~35시간 취업자는 지난해 12만2천명에서 올해 15만6천명으로 27.9%나 급증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숙련도 낮은 직업의 일자리가 감소했다.
올해 4월 판매종사자는 지난해 같은 달 15만명보다 11.3% 감소한 13만3천명이었다. 같은 기간 단순노무 종사자도 16만명에서 14만3천명으로 10.6%의 일자리가 없어졌다. 제조업에 근무하는 '장치·기계 및 조립 종사자'도 16만9천명에서 16만명으로 한 해 사이 5.3% 줄었다.
황준석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인적자원개발위원회 고용전문관은 "20대에 고용 대책이 집중된 탓에 상대적으로 30, 40대가 정책에서 소외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저임금 비숙련 일자리가 감소했다. 이들 직종은 인력 감축이 쉬운 데다 생산 및 판매현장에 자동화 도입이 늘면서 일자리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